
[사진=HMM]
HMM이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해 추진해 온 SK해운 인수 작업이 결국 실패했다. 정치권 외풍으로 새주인 찾기에 난항을 겪고 있는 HMM이 이번 인수 불발까지 더해지며 세계 6위 글로벌 해운사로 도약하기 위한 기존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는 평가다.
6일 업계에 따르면 HMM은 지난 4일 공시를 통해 "SK해운의 일부 자산 인수 등과 관련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뒤 거래 상대방과 협상을 진행했지만, 최종적으로 인수 협상이 결렬됐다"고 밝혔다.
HMM은 컨테이너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벌크 선단을 사업 포트폴리오에 추가하기 위해 SK해운 인수를 추진해 왔다. SK해운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한앤컴퍼니(한앤코)와 협상을 이어왔지만 결국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협상 결렬 주요 원인은 인수 가격에 대한 견해차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한앤코는 SK해운의 몸값을 4조원대로 제시했지만, HMM은 최대 2조원 수준의 투자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6일 업계에 따르면 HMM은 지난 4일 공시를 통해 "SK해운의 일부 자산 인수 등과 관련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뒤 거래 상대방과 협상을 진행했지만, 최종적으로 인수 협상이 결렬됐다"고 밝혔다.
HMM은 컨테이너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벌크 선단을 사업 포트폴리오에 추가하기 위해 SK해운 인수를 추진해 왔다. SK해운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한앤컴퍼니(한앤코)와 협상을 이어왔지만 결국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협상 결렬 주요 원인은 인수 가격에 대한 견해차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한앤코는 SK해운의 몸값을 4조원대로 제시했지만, HMM은 최대 2조원 수준의 투자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SK해운 놓친 HMM, 중장기 경영전략 차질 불가피
해당 전략의 핵심은 선복량 확대를 통한 몸집 불리기다. 세부적으로 컨테이너 사업에 12조7000억원, 벌크 사업에 5조6000억원, 통합 물류사업에 4조2000억원, 친환경·디지털 강화에 1조원 등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컨테이너선 중심의 사업을 영위하는 HMM에는 벌크선 선복량 확대가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SK해운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HMM은 SK해운의 액화천연가스(LNG)선 사업부를 제외한 탱크선, 액화석유가스(LPG)선, 벌크선 등 사업 부문 인수를 목표로 했었다.
업계에서는 이번 인수 불발로 HMM이 중장기 사업 전략에 대해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 해운업계 관계자는 "소규모 인수합병(M&A) 없이 선박의 직접 발주에만 의존해 벌크선 선복량을 확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HMM은 SK해운 인수 실패로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한 절호의 기회를 놓친 것"이라고 전했다.
갈 길 바쁜데…'부산 이전' 등 악재에 민영화 올스톱
일각에선 이번 인수 결렬 배경에 '정치권 외풍'이 자리 잡고 있다고 보고 있다. 표면적으론 인수 금액에 대한 이견이 이유지만, 산은과 해진공 수장 교체와 본사 이전이라는 대내외 변수가 협상 결렬을 이끌었다는 것이다.
실제 시장에서도 정치권 외풍을 HMM 중장기 경영 전략의 최대 악재로 꼽고 있다. 해양물류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선 하루빨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사 부산 이전 등의 이슈로 민영화 논의가 멈춰섰기 때문이다.
HMM의 민영화는 새정부 출범 이후 원점에서 재검토되고 있다. 산은과 해진공 수장 교체와 본사 이전이라는 변수가 있어서다. HMM은 산업은행이 33.73%, 한국해양진흥공사가 33.32%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사실상 최대 주주가 정부인 셈이다.
정부는 현재 HMM 본사 부산 이전을 국정 과제로 추진 중에 있다. 해양수산부 이전과 함께 HMM의 본사도 부산으로 옮겨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겠단 포부다. 다만 해당 HMM 부산 이전에 대해선 노조의 반대가 거센 상황이다. 이에 무리한 본사 이전으로 노조 갈등이 거세져 경영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HMM이 글로벌 해운 시장에서 주도권을 갖기 위해선 M&A를 통한 몸집 키우기가 중요하다"면서 "'주인 없는 회사'인 처지가 지속되면 HMM의 세계시장 경쟁력도 계속해서 뒤쳐질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실제 시장에서도 정치권 외풍을 HMM 중장기 경영 전략의 최대 악재로 꼽고 있다. 해양물류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선 하루빨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사 부산 이전 등의 이슈로 민영화 논의가 멈춰섰기 때문이다.
HMM의 민영화는 새정부 출범 이후 원점에서 재검토되고 있다. 산은과 해진공 수장 교체와 본사 이전이라는 변수가 있어서다. HMM은 산업은행이 33.73%, 한국해양진흥공사가 33.32%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사실상 최대 주주가 정부인 셈이다.
정부는 현재 HMM 본사 부산 이전을 국정 과제로 추진 중에 있다. 해양수산부 이전과 함께 HMM의 본사도 부산으로 옮겨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겠단 포부다. 다만 해당 HMM 부산 이전에 대해선 노조의 반대가 거센 상황이다. 이에 무리한 본사 이전으로 노조 갈등이 거세져 경영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HMM이 글로벌 해운 시장에서 주도권을 갖기 위해선 M&A를 통한 몸집 키우기가 중요하다"면서 "'주인 없는 회사'인 처지가 지속되면 HMM의 세계시장 경쟁력도 계속해서 뒤쳐질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