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원은 당시 인식능력과 행위 통제력이 없었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7일 서울서부지법 형사7단독(마성영 부장판사)은 상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에게 당시 인식능력과 행위 통제력이 없었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앞서 A씨는 지난해 4월 서울 은평구의 한 장애인 복지센터에서 근무 중이던 사회복지사 B씨를 손바닥으로 때려 쓰러뜨려 뇌진탕과 어깨·무릎 타박상을 입힌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A씨는 지능지수 45 이하, 사회연령 3.6세 수준의 중증 자폐성 지적장애 및 중증 청각장애를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서울 은평구청은 A씨에게 '타인의 보호가 일생 필요한 심한 장애' 등급을 판정한 바 있다.
B씨는 "A씨가 타인을 때린 뒤 '미안하다'는 표정을 짓고 사과하는 반응을 반복적으로 보여왔다"며 일정한 인식 능력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기본적인 감정 표현이나 단기적 반응은 가능하더라도, 이를 사물 변별 능력이나 행위 통제력으로 보기는 어렵다. 피고인은 재판 과정에서 이름이나 주소조차 진술하지 못했다"며 "형법 제10조 제1항은 '심신장애로 인해 사물을 변별하거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없는 자의 행위는 벌하지 않는다'고 규정한다. A씨는 범행 당시 책임능력이 없는 상태였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