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이 이춘석 꼬리 자르기에 착수했다. 이미 탈당한 무소속 의원을 뒤늦게 당에서 제명하겠다고 하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식' 징계가 우스꽝스럽다"며 "지금 중요한 건 이 의원의 당적이 아니다. 이춘석 게이트라고 하는 국기문란 범죄의 실상을, 진상을 밝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 윤리심판원에서 밝혔듯, AI(인공지능) 산업을 총괄하는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장을 맡으며 AI 관련주를 거래했다는 것은 명백한 이해충돌"이라며 "국정위 분과장 직위를 이용해 내부, 미확인 정보를 활용한 시세차익을 만들었다면 심각한 권력형 금융범죄"라고 꼬집었다.
이어 "보도에 따르면 이 의원 차명계좌 소유주인 보좌관도 국정위 경제2분과 소속 운영위원이었다"며 "국정위가 투기용 내부 정보의 원천이고, 많은 국정위 관계자가 내부, 미공개 정보를 악용해 시세차익을 누렸을 가능성을 국민들께서 걱정한다"고 강조했다.
송 위원장은 "이 의원을 제외한 모든 민주당 의원과 국정위 관계자가 결백하다면 우리 당이 제안한 특검 수사, 국정기획위원 차명 재산 전수조사를 거부할 이유가 없다"고 압박했다.
앞서 이 의원은 지난 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보좌관 명의의 주식 계좌로 네이버, 카카오페이, LG씨엔에스 등 세 종목을 거래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올해 3월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목록에는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된 증권 보유량이 전무했던 데다 타인의 명의를 빌려 거래한 의혹이 불거지면서 회피성 의도가 담긴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은 이 의원이 사들인 종목(네이버·카카오페이·LG씨엔에스)과 정부 정책 발표가 겹치면서 논란이 커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의원의 거래가 포착된 지난 4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네이버클라우드·업스테이지·SK텔레콤·엔씨 AI·LG AI연구원 등 5곳을 정예팀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네이버클라우드팀에는 네이버클라우드와 네이버가, LG AI연구원팀에는 LG유플러스·LG씨엔에스 등 이 의원이 직접 거래한 종목이 포함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