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 여파에…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1주 만에 다시 둔화

사진한국부동산원
[사진=한국부동산원]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책 여파로, 서울과 경기의 아파트 가격 상승 폭이 한 주 만에 다시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둘째 주(8월 1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0.10% 상승해 전주 상승률(0.14%) 대비 상승폭이 다시 꺾였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6·27 대책 발표 이후 6월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부터 5주 연속 둔화되다가 6주 만에 확대됐지만, 다시 한 주 만에 상승률이 줄어든 것이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0.16%)와 동대문·관악구(0.08%)만 보합세를 보였고, 나머지 구는 상승폭이 모두 둔화됐다. 상승률은 송파구(0.31%)가 가장 높았다. 이어 성동구(0.24%), 서초구(0.16%), 강남·용산·광진·양천구(0.13%), 강동·영등포구(0.12%), 마포구(0.11%)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와 학군지 등을 중심으로 매매 가격이 상승했다”며 “매수 관망세가 이어지고 전반적인 매수 문의가 감소하며 직전 주 대비 상승 폭이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아파트 가격은 0.01% 상승해 상승률이 전주(0.02%) 대비 소폭 둔화되며 역시 한 주 만에 오름폭이 다시 줄어들었다. 과천시(0.22%), 성남 분당구(0.19%), 안양 동안구(0.18%), 하남시(0.14%)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유지했다. 인천은 같은 기간 아파트 가격이 0.04% 하락해 낙폭이 전주(-0.02%) 대비 두 배 확대됐다.
 
수도권 전체 상승률은 0.04%로, 전주(0.05%) 대비 소폭 하락했다.
 
지방 아파트 가격은 0.01% 떨어져 63주째 하락세가 지속됐지만, 하락폭은 전주(-0.03%) 대비 줄었다. 5대 광역시는 0.03%, 8개 도는 0.01%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전주와 동일한 0.01%로 보합을 이어갔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와 동일한 0.01%를 기록했다. 서울(0.05%)을 비롯한 수도권(0.02%)도 전주와 동일한 상승률을 보였다. 지방(0.00%) 역시 전주와 같은 보합세를 이어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