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새 정부 국정 운영 방향에 따른 전략적 대응 본격 추진

  • 인공지능·에너지, 인구위기 극복과 복지·보건의료, 대형 SOC, 문화관광 분야 집중 추진

  • 이철우 도지사 "경북의 강점이 있는 산업 중심으로 새 국정 방향과 연계 시켜야"

경북도 ‘새 정부 국정 운영 방향 대응 보고회’ 장면 사진경상북도
경북도 ‘새 정부 국정 운영 방향 대응 보고회’ 장면. [사진=경상북도]
 
경상북도가 새 정부 국정 운영 방향에 따른 전략적 대응을 본격 추진한다.
 
도는 19일 이철우 도지사 직접 주재로 ‘새 정부 국정 방향 대응 보고회’를 갖고 정부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한 분야별 전략 마련과 핵심 사업 구체화, 예산 확보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지난 13일 국정기획위원회의 ‘국민보고대회’에서 밝힌 이재명 정부 국정 운영 5개년 계획에 따른 경북도의 신속한 후속 조치로, 5대 국정 목표와 123개 국정 과제에 맞춰 경북의 전략 프로젝트 구체화 및 즉각적인 추진과 예산 확보를 위해 마련됐다.
 
특히 경북문화관광공사, 경북테크노파크, 경북바이오연구원, 경제진흥원, 경북문화재단, 경북행복재단 등 주요 출자·출연기관이 보고회에 참석해 문화, 산업, 저출생과 복지 분야 대응에 함께 고심했다.
 
경북은 하나 되는 정치, 혁신 경제, 균형 성장,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 외교·안보라는 목표와 23대 추진 전략을 면밀하게 분석해 중점 대응할 핵심 10대 키워드 인공지능(AI), 에너지, 미래산업, 기후 위기 대응, 자치분권·균형성장, 민생 경제, 농산어촌, 복지·보건의료, 인구 위기 극복, 창의적 문화국가를 도출했다.
 
그중 AI, 에너지와 관련 경북도는 정부의 ‘AI·에너지 고속도로’에 대응해 국가 AI 컴퓨팅 센터 유치와 산업 AI 혁신지원센터 등을 조성해 AI 3대 강국 도약을 지원하고, 원전 활용 청정수소 생산 클러스터와 수소 고속도로, 동해안 해저 전력망 기반 구축을 통해 경제성장과 탄소중립의 동시 달성에 나선다.
 
인구 위기 극복과 복지·보건의료와 관련해서는 경북이 ‘저출생과 전쟁’을 통해 정부를 선도해 온 만큼 가장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분야다.
 
저출생 극복 융합 돌봄 특구를 확대 운영해 도민 체감도를 높이고 분절된 복지·보건·요양 서비스 등을 통합하는 경북형 통합돌봄과 건강증진형 보건진료소 시범 모델 운영으로 ‘행복하게 자라는 아이, 두려움 없는 노후’를 실현할 계획이다.
 
자치분권과 균형 성장의 핵심이 될 S·O·C로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신공항 순환철도(대구~신공항~의성~군위~영천~대구), 대구·경북 대순환철도, 남북 9축(영천~양구), 남북 10축(영덕~삼척) 고속도로 등을 국가 도로철도망 계획에 반영하고 신속하게 추진할 예정이다.
 
또 경북도는 창의적 문화국가와 관련해 권역별 융복합 K-콘텐츠 산업 지원과 5 韓의 국제 브랜드화를 통해 문화자원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포스트 APEC 사업을 통해서는 경주를 국제적인 관광거점으로 성장 시켜 APEC성공 개최의 감동을 이어가고, 지역의 특색 있는 관광자원을 개발하는 등 관광산업 활성화에도 적극 노력해 ‘높은 문화의 힘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나라’ 완성에 앞장선다.
 
그 뿐만 아니라 산불 피해 지역의 혁신적 재창조를 위한 ‘산불 피해 특별법’ 연내 제정으로 산불 피해 지역의 민생 경제를 회복하고 경북 농업대전환의 전국 확산을 위한 제도 정비, 돈이 되는 산을 위한 산림 소득 프로젝트로 농산어촌에도 생기가 돌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그 밖에도 바이오·미래차·방산 등 첨단 미래산업 육성 방안과 트럼프 행정부 관세 인상과 글로벌 공급 확대에 따른 철강·이차전지 산업 위기 대응을 위한 특별법 제정 방안 등도 함께 논의됐다.
 
이철우 도지사는 “국정 과제에 얼마나 철저히 준비했느냐에 따라 사업 진행 여부가 결정된다”고 강조하며 “AI, 에너지와 같은 미래첨단산업과 농업, 문화관광 등 경북이 강점이 있는 산업을 중심으로 새 국정 방향과 연계 시켜 대한민국이 초일류 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 공직자와 관계 기관이 한 몸처럼 움직여야 한다”며 대응 전략 추진에 빈틈없이 임할 것을 지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