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를 상대로 예고한 50% 관세가 예정대로 27일(현지시간) 발효됐다. 미국이 러시아 원유를 수입하는 인도에 2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미국-인도 간 관계가 최악으로 치닫는 모습이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동부시간 기준 이날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27일 오후 1시 1분)을 기해 인도산 제품에 50% 관세 부과를 개시했다. 이는 종전 미국이 인도에 부과했던 상호관세 25%에 대러시아 제재 위반 명목으로 2차 관세 25%가 더해진 것이다. 2차 관세는 제재 대상 국가와 교역을 하는 국가들에도 부과하는 관세를 의미한다. 이에 인도는 브라질과 함께 미국에서 가장 높은 관세를 부과받게 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 인도가 러시아 원유 구입 제재를 위반했다며 3주 유예 기간 후 대부분 인도산 수입품에 추가관세 25%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다만 인도적 지원 물품과 전자제품, 의약품 등은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고 이미 품목별 관세를 적용받고 있는 자동차와 철강, 구리 등도 해당 관세 대상에서 빠졌다.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은 지난 24일 미국 NBC와 인터뷰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가 그들의 석유 경제에 힘입어 부유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인도에 대한 2차 관세와 같은 공격적인 경제적 수단"을 사용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인도 역시 미국의 압박에 굴하지 않겠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25일 연설에서 "어떠한 압력이 있든 우리는 우리 힘을 키워 저항할 것"이라고 강조했고, 오는 31일 개막하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차 7년 만에 '앙숙' 중국을 방문해 중국과 협력을 논의할 방침이다. 또한 26일 독일 주요 매체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모디 총리와 4차례 이상 통화를 시도했으나 모디 총리는 이에 불응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미국과 인도의 관계가 최악으로 치달으면서 미국이 추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에도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1기 당시 인도와 무역 협상에 참여했던 마크 린스콧 전 미국무역대표부(USTR) 보좌관은 "지금부터 상황이 어떻게 흘러갈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분명한 것은 지금 상황이 안 좋다는 것"이라고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국무회의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종전 합의가 없으면 러시아에 대해 강력한 추가 경제 제재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