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UDC 2025] 가상자산, 변방에서 주류로…제도화 이후 시장 확대 탄력

  • 9일 강남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서 '팡파르'

  • 3대 키워드, 제도화·스테이블코인·데이터

사진두나무
[사진=두나무]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매년 개최하는 블록체인 행사 ‘업비트 D 콘퍼런스(UDC) 2025’가 오는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막을 올린다.

두나무는 ‘블록체인, 산업의 중심으로’를 주제로 UDC 2025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로 8회째를 맞는 UDC는 두나무가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과 혁신을 위해 매년 개최하는 행사다. 2018년 첫 행사 이후 지난해까지 누적 3만명에 달하는 참가자를 모았다.

가상자산 업계는 가상자산의 본격적인 제도권 편입과 금융·산업 전반에서의 파급력 등이 UDC 2025에서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본다. 미국은 올해 지니어스법(GENIUS Act)이 의회를 통과하면서 제도화된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한국 국회에서도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를 위한 법안이 발의되는 등 가상자산 대중화를 향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조연설도 ‘메인스트림(주류)으로 성장한 디지털 자산의 로드맵’을 주제로 이뤄진다. 실험적 개념이 아닌, ‘주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상자산이 화두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상자산이 제도 안에서 어떤 로드맵을 따라 성장할 수 있는지, 세계적인 금융 질서와 규제의 변화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글로벌 경제·자산 운용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떠오르고 있는 스테이블코인도 핵심 내용으로 다뤄진다. 민간 기업들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주체로서 각자의 방식으로 신뢰성과 투명성을 빠르게 확보해나가고 있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이 디지털 금융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UDC 2025에서 스테이블코인이 현재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주류 금융이 되려면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 등이 논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데이터가 곧 금융산업의 체계를 뒤흔들 것이란 전망도 UDC 2025에서 한층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행사에서는 △카미모토 유키 코인데스크 재팬 대표 △진 팡 무디스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부대표 △윌 차이 카이코 글로벌지수 총괄 등이 금융데이터를 주제로 토론에 나설 예정이다.

이를 통해 중앙화 거래소와 온체인 등을 활용해 새로운 디지털 금융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청사진을 청중과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온체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거래나 이동 등 활동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공개하는 데이터를 뜻한다. 한번 기록된 데이터는 삭제할 수 없다는 게 특징이다.

아울러 전통 금융업계의 시각에서 새로운 가상자산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정제해 시장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지에 관련한 토론도 이뤄질 전망이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데이터 분야의 저명한 인사들이 논의에 참여하는 만큼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UDC는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자산 산업의 미래를 논의하는 세계적인 플랫폼”이라며 “올해는 전 세계 리더들이 함께하는 만큼 블록체인과 디자털 자산의 글로벌 영향력을 새롭게 조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