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시대 데이터의 무분별한 활용은 개별 국가 차원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고, 국제사회의 협력과 연대를 통해 해소해 나가야 합니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16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GPA)' 개막식에서 "한국은 이번 서울 총회를 계기로 이러한 협력을 촉진하는 플랫폼이자 가교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GPA는 개인정보 보호 분야에서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로, 한국 개인정보위가 주최한 이번 총회는 'AI시대 개인정보 이슈'를 주제로 19일까지 진행된다. 한국과 미국, 유럽연합(EU),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95개국·148개 개인정보 감독기구에서 약 1000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 위원장은 AI 에이전트 발전에 따른 무분별한 데이터 활용은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에이전트로 진화함에 따라 개인정보가 여러 단계로 공유, 전달되면서 발생하는 취약점과 이용자의 통제권 약화 등이 새로운 리스크로 부상할 것"이라면서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신뢰 확보와 같은 도전적 과제가 국경을 넘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AI가 가진 전방위적, 초국경적, 동시다발적 특성으로 인해 이러한 도전과제를 개별 국가가 해결하기엔 명백한 한계가 있다"면서 "국가 간 규범 격차, 제도적 역량 격차, 시민들의 신뢰 격차를 협력과 연대를 통해 해소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첫 기조연설자로 나선 메러디스 휘태커 시그널재단 회장도 AI 에이전트 확산에 따른 새로운 프라이버시 보호 체계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그는 "AI 에이전트는 캘린더, 이메일, 연락처 등 민감한 정보에 접근하면서 명시적 권한 없이 작동하도록 설계돼 있어, 현재의 프라이버시 장벽을 무너뜨리고 있다"면서 "AI가 어떤 방식으로 접근·처리·전송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앱별로 구체적이고 세밀한 통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AI 에이전트가 앱과 클라우드, 기기 사이를 제멋대로 오가지 않도록 공개적인 약속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고 위원장이 대독한 축사에서 "AI가 미래 먹거리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지만 그 이면에는 데이터의 오남용, 개인정보 침해 등 위협 요인도 상존한다"면서 "데이터의 무분별한 활용은, 기술에 대한 국민의 신뢰뿐 아니라 그 나라의 경제와 사회의 근간을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개별 국가 차원의 대응만으로는 분명한 한계가 있기에 전 세계적 공동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총회 기간 동안 5개 주제의 기조연설과 20여개 패널 토론이 이어진다. 마이클 맥그레스 유럽연합(EU) 민주주의·정의·법치주의·소비자 보호 담당 집행위원(장관급)과 그레이엄 버넷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 등이 16∼17일 기조연설에 나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