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틱톡 미국 사업권 인수할 미국 대기업 있어…조만간 시진핑과 통화 후 확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인수할 대기업들이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영국 방문을 위해 백악관을 나서며 취재진에게 "난 금요일(19일)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하고 모든 것을 확정하려고 한다"며 틱톡 미국 사업권과 관련한 발언을 했다.  이어 "매우 큰 기업들"이라고 강조했다.

틱톡은 미국 내 인기가 높지만, 모회사가 중국의 바이트댄스라는 점에서 중국 정부의 개인정보 탈취나 해킹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이에 미국 의회는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틱톡 서비스를 금지하는 '틱톡 금지법'을 제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 법의 시행을 유예하며, 틱톡 대주주 지분을 미국 기업이 인수하는 조건으로 중국과 협상하고 있다. 또한 17일이 시한이던 틱톡 금지법의 유예 기한도 12월 16일까지 90일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사인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오라클 등 미국 투자자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80%가량 지분을 보유하는 법인을 설립해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인수하고, 미국 정부가 지정하는 1명을 포함해 미국인 주도 이사회로 회사를 경영하는 방식이 유력하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사용자 데이터를 오라클의 미국 서버에 보관하면서 안보 우려를 불식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기존 틱톡의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은 그대로 사용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전날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과 관련해 취재진에게 틱톡 문제에 대한 프레임워크(큰 틀) 합의는 이뤄졌다고 알린 바 있다. 다만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최종 결정을 할 것이라고 못박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