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미래기술 혁신기업 153곳 키운다...올해 294억 투입

  • 6대 신성장산업 71개 과제 142억원 집중...기술개발부터 실증·시장 진출까지 전주기 지원

서울형 RD 지원사업 홍보 포스터 사진서울시
서울형 R&D 지원사업 홍보 포스터.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2025년 '서울형 R&D 지원사업' 신규 과제 153개를 최종 선정하고 294억원을 투입해 맞춤형 지원을 이어간다고 17일 밝혔다.

'서울형 R&D 지원사업'은 2005년부터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와 산업 활성화를 견인해 온 서울시 대표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410억원(신규 투자금 294억 포함)을 투입해 인공지능(AI), 바이오, 로봇, 양자 기술 등 6대 신성장산업의 기술개발과 글로벌 진출까지 이어지는 완결형 지원 체계를 고도화한다.

이번 공모에는 1186개 과제가 응모해 평균 경쟁률 7.8대 1을 기록했다. 6대 신성장산업(AI·바이오·양자·로봇·핀테크·창조산업) 분야 71개 과제에 142억원이 집중 지원된다.

대표 선정 과제는 바이오·의료 분야에서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 중인 '에이비스(AIVIS)'의 AI 기반 정밀 암 진단 기술, 핀테크 분야에서 토스의 '앱인스토어' 프로젝트에 선정된 '㈜안전집사'의 AI 부동산 계약 안전도 평가 플랫폼 등이다. 

혁신기술 실증과 사회적 가치 확산을 위한 과제도 대거 포함됐다. '테스트베드서울'에는 38개 과제(74억원), 약자기술 R&D에는 11개 과제(22억원)가 각각 선정됐다. 선정 과제 중 최고점을 받은 '㈜에스엠디솔루션'은 시립요양시설 고령자 대상 '구강관리 보완 대체기기' 실증을 통해 치과 접근성 한계를 보완하는 의료·돌봄 혁신을 추진한다.

기업 성장 단계별 맞춤 지원도 강화된다. '서울혁신챌린지(10개 과제)' '민간투자연계 R&D(8개)' '기술보증기금 연계형 R&D(15개)' 등 33개 과제에 56억원을 배정했다. 글로벌 R&D와 해외 테스트베드서울 총 10개 신규 과제를 선정해 현지화 컨설팅, 해외 인증, 판로 개척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서울형 R&D는 기술 개발부터 실증, 사업화, 글로벌 진출까지 전 과정을 촘촘히 연결해 기업의 성장을 빠르게 견인하고 있다"며 "민간과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기술이 시민 삶을 실질적으로 바꾸는 혁신의 선순환 구조를 더욱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