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에너지장관 "리튬아메리카스와 '서커패스' 리튬 광산 지분 5% 확보"

  • "中 리튬 시장 지배력 견제 위해 필요…가동 시 4만t의 배터리급 탄산리튬 생산"

2023년 4월 24일 미국 네바다주 오로바다 인근에서 서커패스 광산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사진AP연합뉴스
2023년 4월 24일 미국 네바다주 오로바다 인근에서 '서커패스' 광산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사진=AP·연합뉴스]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이 정부가 캐나다 리튬업체 리튬아메리카스와 이 회사가 추진 중인 '서커패스' 리튬 광산 프로젝트 지분을 각각 5%씩 취득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라이트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밴쿠버에 본사를 둔 리튬아메리카스의 지분 5%와 미국 내 최대 리튬 매장지 프로젝트의 지분 5%를 인수할 것"이라며 "이번 조치는 중국의 리튬 시장 지배력을 견제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밝혔다.

라이트 장관은 "이 광산이 건설되는 것이 미국의 국익에 부합한다"며 "향후 몇 년 안에 대규모 신규 리튬 자원이 생산돼 대량의 수입 리튬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튬아메리카스와 미국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는 합작 투자를 통해 네바다주 서커패스 광산을 개발하고 있다. 두 회사의 지분 비율은 62%(리튬아메리카스) 대 38%(GM)이며, GM은 6억2500만 달러(약 8700억원)를 투자해 1단계 생산량 전량과 2단계 생산량 일부를 20년간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앞서 블룸버그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 시기인 지난해 10월 에너지부가 서커패스 프로젝트에 22억 달러 규모의 대출을 제공하기로 결정했으며, 이후 리튬아메리카스와 GM이 대출 집행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구조조정을 요청하자 정부가 납세자 보호를 위해 외부 자본 참여를 요구하는 등 조건 변경을 추진했다고 전했다.

초기 협의 과정에서 행정부는 시장 상황과 관계없이 GM이 리튬 구매를 보장하도록 요구했으나, GM이 이에 응하지 않으면서 논의가 지분 확보 요구로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통신이 지난달 24일 에너지부의 지분 요구에 리튬아메리카스 측이 대출금 1차분 집행을 확보하기 위해 보통주 5~10%를 취득할 수 있는 무상 워런트 제공을 제안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에너지부 성명에 따르면 이 시설이 1단계 가동에 들어가면 연간 약 4만t의 배터리급 탄산리튬을 생산해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전기차 최대 8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내 핵심 광물 공급망을 구축하고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으로,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 초당적 지지를 받아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지분 취득을 포함해 국가 안보 차원에서 중국이 무기화하고 있는 핵심 광물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민간 기업 지분 확보에 나서고 있다.

앞서 미 국방부는 미국 내 유일한 희토류 광산 운영사 MP머티리얼스에 4억 달러를 투자해 최대주주로 올라섰고,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법에 따라 승인된 보조금 89억 달러를 투입해 경영난을 겪던 인텔 지분 9.9%를 확보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