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마루 전망대] '자원' 분리한 산업부…제조업 AX 로 새 활로 찾을까

 
지난 1일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부 기자실에서 백드롭 교체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김성서 기자]
지난 1일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부 기자실에서 백드롭 교체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김성서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자원'을 뗀 산업통상부가 된지 열흘 가량이 지났습니다. 원전 수출은 제외한 에너지 기능을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이관한 뒤 산업과 통상 업무만 담당하게 된 것입니다. 이에 따른 조직 개편도 이뤄졌는데요, 산업부는 앞으로 제조업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제조업의 AI 전환(AX)에 사활을 걸 것으로 보입니다.

10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기존의 산업부에서 에너지 부분이 환경부(현 기후부)로 이관됐습니다. 본격적인 부처 개편 전날인 9월 30일부터 환경부와 산업부 모두 간판을 바꾸는 등 준비에 분주한 모습이였습니다.

부처 개편에 따라 산업부 조직도 바뀌었습니다. 당초 산업부는 각각 산업 정책과 에너지 정책을 담당하던 1·2차관과 통상 업무를 담당하는 통상교섭본부장으로 구성된 2차관·1본부장 체제였습니다. 

그러나 에너지 정책을 담당하는 2차관 업무가 기후부로 넘겨지게 되면서 1차관·1본부장 체제로 변화했죠. 이에 따라 산업부 소속 공무원 200여명이 소속을 옮겼고 산하 공공기관 21곳도 기후부 소속으로 변경됐습니다.

사실 국내 제조업의 경우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이 많습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사항임에도 산업과 에너지 정책을 떼어놓을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 바 있었죠. 김정관 산업부 장관도 장관 취임 전 출근길에서 "산업과 에너지는 불가분의 관계"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새 정부가 에너지 정책을 기후 대응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서 에너지와 산업은 결국 다른길을 걷게 됐습니다.

에너지 업무를 이관한 만큼 산업부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립니다. 김 산업부 장관의 최근 발언들을 살펴보면 산업부는 제조업 AX(M.AX)에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김 장관은 산업통상부 출범 직후인 지난 1일 역대 산업부 장관들을 만나 '3대 전략'의 첫 목표로 M.AX 얼라이언스 본격화를 강조했습니다. 이날 진행된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 회의에서도 제조업 AX를 '신성장전략'으로 꼽았습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1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조 인공지능 전환AX 얼라이언스 출범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2025910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1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조 인공지능 전환(AX) 얼라이언스 출범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2025.9.10[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앞서 산업부는 지난달 10일 제조 AX 관련 100조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며 'M.AX 얼라이언스'를 출범시켰습니다. 제조업 기반은 견고한 반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기업이 부족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였습니다.

이에 10개 분과로 나뉜 얼라이언스를 바탕으로 제조기업과 AI기업을 매칭해 업종별 특화 AI 모델·제품을 공동 개발할 방침입니다. 정부도 기업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예산, 펀드, 인프라 등을 지원합니다. 민간 중심의 미국, 정부 중심의 중국과는 다른 민관 제조 AX 연합이 출범한다는 것이 산업부의 설명입니다.

구체으로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산업부 장관이 공동 위원장을 맡아 △AI 팩토리 △AI 제조서비스 △AI 유통·물류 △자율주행차 △휴머노이드 △자율운항선박 △AI 가전 △AI 방산 △AI 바이오 △AI 반도체 등 분야별 얼라이언스를 구성합니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내년 AI 관련 예산을 올해보다 2배 넘는 1조1347억원으로 편성했습니다. 2027년도 예산부터는 각 얼라이언스에서 제안한 과제를 최우선으로 반영합니다. 기업 지원을 위해서는 국민성장펀드, 민관펀드 등의 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협의합니다.

얼라이언스 내 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조현장 등의 실증 공간,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 업종·제품 특성에 맞는 테스트베드 등도 지원합니다. AI 제품·서비스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들을 발굴해 제도 개선에 나섭니다.

김 장관은 지난달 아주경제신문이 주최한 '제17회 착한 성장 좋은 일자리 글로벌 포럼(2025 GGGF)' 축사를 통해서도 M.AX를 강조했습니다. 그는 "제조 AX만이 우리 기업과 산업의 압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도약을 이끌 수 있는 근본 해법"이라고 밝힌 바 있죠. 김 장관의 복안이 산업부의 새 활로가 될지 이목이 쏠리는 시점입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