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길만 믿다간 큰코다친다"…울릉도 교통망, 해상 노선 유지 절실

  • 울릉도 공항 개항 앞두고 '교통망 이원화' 요구 거세

  • 기상 변수 많은 지역 특성 상 항공 단독 운항엔 한계

울릉도 전경사진울릉군
울릉도 전경.[사진=울릉군]
 
경북 울릉군의 하늘 길이 오는 2028년 정식 개통을 앞두고 있지만, 지역 안팎에서는 해상 교통 유지에 대한 정부의 실질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13일 업계와 지역사회에 따르면 울릉공항 건설 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의 기대감이 크다. 서울에서 1시간이면 닿을 수 있는 ‘섬 아닌 섬’이 될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항공편 중심의 교통망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현재 공정이 한창인 울릉공항에는 70석 안팎의 소형 항공기인 ATR72-600 기종이 투입될 예정이지만, 기상 여건이 변수로 꼽힌다. 잦은 돌풍과 안개, 눈보라 등으로 결항이 잇따를 경우, 주민과 여행객들의 발이 묶이는 사태가 쉽게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항공 운항 만으로는 울릉도의 인적·물적 수송을 안정적으로 감당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해상 노선 역시 이미 적자 누적으로 흔들리고 있다. 여러 여객 선사가 면허를 반납하거나 구조조정에 들어간 상태다.

현재 울릉과 포항을 오가는 ‘뉴씨다오펄호’는 2만톤급 크루즈 여객선으로, 편도 최대 1200명을 태우며 사계절 운항 중이다. 지역민들 사이에서는 “뉴씨다오펄호가 멈추면 울릉의 발길이 끊긴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핵심 교통 수단으로 꼽힌다. 하지만 수익성 악화로 노선 유지가 불투명한 상황이라 지역사회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한 교통경제 전문가는 “공항이 문을 열면 항공편이 일부 수요를 흡수하겠지만, 울릉의 기후 특성을 고려할 때 바닷길은 단순한 보조 수단이 아니라 생명선에 가깝다”며 “시장 논리 만으로 해상 여객선을 유지하기는 불가능하다. 정부가 공공 인프라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울릉 뿐 아니라 전국 도서 지역들의 항공·해상 교통 체계를 국가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해상 여객선을 사실상 ‘공공 교통수단’으로 인정하고 운영 지원이나 국고 보조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울릉읍 사동리에서 만난 한 지역 원로는 “하늘 길이 열린다니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울릉의 돌풍과 해무, 겨울 한파는 만만치 않다”며 “결항이 잦으면 결국 바닷길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항공과 해상 두 노선이 균형 있게 유지될 수 있도록 행정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섬 주민들의 교통권 보장이 ‘하늘 길’ 만으로 담보 되기 어렵다는 데 지역사회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남은 과제는 정부의 결단이다. 하늘과 바다, 두 길이 함께 열려야 진짜 울릉도의 교통망이 완성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