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의식주 물가 연평균 4.6% 상승…체감물가 부담 가중"

  • 한경협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

최근 5년간2019∼2024 연평균 상승률 사진한경협
최근 5년간(2019∼2024) 연평균 상승률 [사진=한경협]
최근 5년간 전기요금, 장바구니, 아파트 관리비 등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 물가보다 빠르게 오르면서 실제물가와 체감물가 간 괴리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경제인협회는 김상봉 한성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소비자물가지수 중분류 항목 중 상승률 상위 15개를 바탕으로 민생과 직결되는 의식주 항목을 분석한 결과 주거 물가가 연평균 5.5% 오르며 가장 크게 상승했다.

주거 물가의 세부 항목별 연평균 상승률은 △전기·가스 및 기타연료(연평균 7.0%) △수도·주거 관련 서비스(4.3%) △주거시설 유지·보수(4.0%)로 나타났다.

△식료품(5.2%) △음식서비스(4.0%) △비주류 음료(3.9%)로 구성된 식생활 물가는 연평균 4.6% 올랐으며, 의류는 연평균 2.9%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는 연평균 4.6% 상승,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연평균 2.8%)보다 1.8%포인트 높았다. 한경협은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이 컸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식주 물가가 전체 물가보다 빠르게 오른 이유는 △국제 에너지 및 농식품 가격 상승 △높은 유통비용 △인건비 부담 등 구조적 요인이 꼽혔다.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한 주거 물가 중에서도 원료 수입 의존도가 큰 전기·가스 요금이 연평균 7.0%로 크게 올랐다.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2021∼2022년 천연가스 가격이 치솟았고, 환율도 상승했기 때문이다.

수도 및 주거 관련 서비스 물가는 인건비와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공동주택 관리비가 오르며 연평균 4.3% 상승했다. 공동주택 관리비는 2019년 1㎡당 2245원에서 2024년 2900원대를 돌파한 후 올해 2988원으로 33.1% 증가했다.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 아파트 기준으로는 월 18만8580원이던 관리비가 25만992원으로 늘어난 셈이다.

여기에 목재·시멘트 등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주거시설 유지·보수 비용이 늘어 주거비 전반의 부담이 커졌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식생활 물가를 구성하는 식료품과 음식서비스는 소비자물가지수 산출 시 가중치가 높아 체감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보고서는 식료품 물가 상승 요인으로 농산물 유통비용 및 국제 농식품 가격 상승을 꼽았다. 운송비, 인건비 등 유통비용이 소비자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47.5%에서 2023년 49.2%로 높아졌고, 기후변화 영향으로 세계 식량가격지수도 2021년 이후 120.0을 상회하고 있다.

식료품 가격의 상승은 음식서비스 항목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외식업계의 영업비용 중 가장 큰 부담요인은 식재료비(연평균 9.8% 상승)로 집계됐다. △인건비(5.8%) △임차료(4.6%) △배달 수수료 등 기타(11.3%)도 외식가격 상승 압력을 높였다.

옷, 장신구 등 의류 물가는 2019년 이후 5년간 연평균 2.9% 오르며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온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민생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으로 △의류 제조의 디지털 혁신 지원 △수입 농식품 물가의 국내 완충장치 마련 및 유통 효율화 △에너지 절감 시설 도입 및 인근단지 공동관리 등을 통한 주거비 절감을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