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 귀국길에 기자들과 만나 "이를 바탕으로 협의가 진전될 수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현재 진행 중인 한미 관세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서는 "미국이 전액 현금 투자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은 아니다"며 "거기까지 갔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을텐데 미국 측에서 우리 측의 의견들을 받아들인 측면이 있다"며 설명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5일 관세 성과를 주장하면서 "한국은 3500억 달러 선불로 지급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대해서 김 장관은 사실상 이를 부인하며 한국의 투자 방식은 유연하게 논의되고 있다고 강조한 셈이다.
추가 협상을 위한 방미 일정과 관련해서는 "관계 부처와 논의해 필요하면 방미할 생각도 있다"면서도 "(다음 고위급 협상이) 예정돼있는 건 아니다"고 밝혔다.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합의를 통해 한국이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는 대신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협의는 아직 마무리하지 못한 상태다.
김 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미국 워싱턴 DC의 미국 상무부 청사를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을 만나 한국의 대미 투자 패키지의 구체적 실천 방안 등에 대해 협의했다.
앞서 김 장관은 이번 방미에 앞서 추석 연휴였던 지난 4일에도 비공개로 출국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등과 통상 협상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