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21일 오세훈 서울시장을 겨냥해 "졸속 추진된 한강버스의 민낯이 국정감사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며 "혈세버스로 전락하는 것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한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진행된 국정감사대책회의에서 "어제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에서 오 시장의 한강버스 운행 중단이 예견된 것임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정책위의장은 "한강 버스에 투입된 자금의 약 69%는 서울시가 조달하고 민간의 투자 금액은 2.8%에 불과한 비정상적인 구조"라며 "민간 특혜 의혹도 불거졌다"고 주장했다.
이어 "오 시장은 이미 2007년에 시행된 한강 수상 택시로 매년 5억에서 7억원의 적자를 내며 혈세를 낭비한 바가 있다"며 "이번 한강 버스도 제2의 수상 택시와 같이 치적용 정치쇼 전철을 밟으며 혈세버스로 전락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했다.
한 정책위의장은 "한강 수상 택시의 경우 폐지하기 전에 3년 동안 한강 수상 택시를 사용한 인원은 100명이었다"며 "그 사업을 하기 위해서 서울시가 추산했던 하루 평균 사용자는 2만 명이었는데 이에 한참 못 미치는 미달 수준이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서울 시민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한강 버스 사업과 관련된 의혹을 진상 규명하고 또 진상 규명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진행 중인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에 대해서도 당부의 말을 전했다. 한 정책위의장은 "정부는 국익 최우선 원칙 하에 상호호혜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해 달라"며 "특히 양국 간 논의되고 있는 금융패키지는 한미 동맹 강화와 양국 제조업 부흥이라는 공동의 목표 하에 감내 가능한 수준에서 합의가 도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대통령실과 산업통상부를 비롯한 관계 부처 간의 긴밀한 조율을 통해 마지막까지 외환시장의 민감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진지하고 건설적 대화로 가능한 에이펙(APEC) 기간 내 의미있는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해줄 것을 부탁한다"며 "국회와도 적절한 시점에 관세 협상 결과를 공유하고 당정 간의 협력을 통한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