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차 판매량은 3만2834대로 지난해 9월(2만4839대) 대비 32.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8월(2만7304대)과 비교해도 20.3% 늘어난 수치다.
올해(1~9월) 누적 수입차 판매량도 22만5348대로 전년 동기(19만4731대)보다 15.7% 늘었다. 이미 3분기 만에 지난해 연간 판매량 대비 85%를 달성하면서 이 같은 성장 추세라면 역대 최대 판매량을 기록한 2022년(28만3435대) 성적도 넘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수입차 시장의 성장은 미국·중국산 전기차 브랜드가 견인했다. 지난달 26개 수입 브랜드 가운데 판매 1위를 기록한 테슬라는 9069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1349대) 대비 572.3% 성장했다. 올해 '모델Y' 부분변경과 전기픽업트럭 '사이버트럭'을 새로 출시하면서 신차 수요가 급증한 영향이다. 테슬라 시장 점유율도 27.62%로 메르세데스-벤츠와 BMW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테슬라와 쌍두 마차를 이룬 중국 BYD의 약진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올 초 소형 SUV '아토3'를 시작으로 한국 시장에 공식 론칭한 BYD는 지난 8월 중형 세단 '씰'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면서 9월 판매량이 1020대로 늘었다. 8월 대비 176.4% 증가한 수치다.
중국 지리그룹 산하 스웨덴 전기차 기업 폴스타도 지난해 8월 SUV '폴스타4'를 본격 출고하면서 9월 판매량이 361대를 기록했다. 전달 대비 40.5%, 1년 전보다는 판매량이 8925% 증가한 수치다.
업계는 미국, 중국 브랜드의 공습으로 국내 전기차 시장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 테슬라의 월 판매량이 최초로 현대차를 뛰어넘었다"면서 "테슬라에 이어 BYD, 폴스타 등 전기차 전용 브랜드가 적극적으로 신차를 추가하면서 시장 영향력을 확대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국산차가 엔트리급 전기차나 중형 SUV 시장에서 주도권을 뺏긴다면 전기차 주도권 경쟁에서 수입 브랜드에 밀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