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무단 소액결제 사태로 흔들린 KT가 또 다른 위기에 놓였다. 해킹 피해 보상, 정부 제재, 대표(CEO) 거취 등 불확실성이 한꺼번에 겹치며 KT가 '복합 위기'에 직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2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김영섭 KT 대표는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의 위약금을 전면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무단 소액결제 및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게 위약금 면제 고지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로 개인정보 유출이 된 약 2만2000명의 피해자들이 위약금을 면제 받는다. 또 이 사태로 가입을 해지하거나 해지를 신청한 이용자 2272명이 이미 납부한 900만원 상당 위약금도 환급 대상에 포함된다. 추가 피해자가 나올 경우 추가 피해자 역시 위약금 없이 해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KT에 미치는 재무적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SKT)의 유심(USIM) 해킹 사건에 비해 피해 규모가 작다는 이유에서다.
이찬영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무단 소액결제 사건으로 KT의 재무적 손실은 4억 원 대 수준"이라며 "추가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주주 환원 정책의 안정성을 훼손할 수준은 아닐 것"이라고 분석했다.
SKT 해킹 사건과 달리 대규모 '대고객 패키지' 보상안이 나올 가능성 역시 낮다고 평가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마케팅 차원에서 보상안이 나오더라도 작은 규모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경찰 조사를 포함한 최종 결과가 나와 책임 소재가 명확해지기 전까지 KT의 과실 여부가 불명확하다는 의견도 있다.
피해 규모는 크지 않지만 정부의 제재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보위)의 제재 여부가 향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개보위는 최근 SKT 해킹 사건에 1300억원 대 과징금을 부과한 전례가 있다. KT 역시 피해 규모는 작지만 금전 피해가 발생한 만큼 상당한 수준의 제재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연구원은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는 과징금 규모가 변수"라고 했다. 송경희 개보위원장도 이날 열린 개보위 전체회의에서도 "개인정보 유출·침해사고와 관련해 엄정 조사·처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여기에 김 대표가 국정감사에서 사퇴 의사를 시사하면서 경영 공백 우려도 커지고 있다. 김 대표는 전날 "사태 수습이 우선이며 일정 부분 정리된 뒤 최고경영자로서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에 있을 KT 정기주주총회까지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임기 만료 최소 90일 전까지 차기 대표 후보군을 구성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사퇴 시점에 따라 리더십 공백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KT가 해킹사건에 연루되며 과징금 납부와 이미지 실추가 불가피하다"며 "내년 초 임기가 마무리되는 김 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변화도 앞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