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APEC, 미·중 관계 가늠자 될 것"...韓 저성장 '인재 샌드박스'로 극복

  • APEC CEO 서밋 주관...젠슨 황 등 글로벌 리더 방한

  • 한·일 경제연대와 AI 투자, 해외 인재 유치가 신성장동력

사진유튜브 캡처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사진=유튜브 캡처]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6일 삼프로TV·언더스탠딩·압권 3개 유튜브 경제 채널 인터뷰를 통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저성장 극복을 위한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이날 최 회장은 APEC 정상회의에 관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주석을 비롯해 APEC 회원국 정상이 모여 많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향후 몇 년간 미·중 문제가 어떻게 풀릴지를 짐작할 가늠자가 될 자리"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APEC 정상회의와 함께 열리는 CEO 서밋은 1700여 명의 글로벌 리더가 참여하는 행사로 보호무역주의 시대 해법을 찾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최 회장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수많은 글로벌 기업인이 방문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대한상의 회장 자격으로 APEC CEO 서밋 의장을 겸하고 있다.

높은 환율과 저출산 등으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 우려가 커지고 있는 한국 경제에 관해서는 새로운 성장 공식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과거 WTO 체제 기반 자유무역이 회복되기는 어렵다"고 예측하고 "19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수출 중심 경제 성장 공식이 이제는 관세로 인해 통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법으로는 △한·일 경제연대 △성장지향형 규제 전환 △인공지능(AI) 투자 △해외 인재유입과 메가샌드박스 등을 제안했다. 

한·일 경제연대는 경제 블록화와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구상이다. 최 회장은 "일본과 협력하면 6조 달러 규모의 시장을 창출해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다"며 "세계 4위 규모의 경제 블록을 형성해 대외 여건에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규제는 성장하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으로 재설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중소기업을 무조건 보호하는 정책은 낡은 방식"이라며 "성장하는 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산업별로 핵심 공급망을 강화하고 반도체 등 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AI는 한국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봤다. 최 회장은 미국과 중국의 AI 주도권 경쟁을 놓고 과거 냉전시대 미국과 소련의 군비 경쟁이 연상된다며 "양국은 AI 투자 전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계속된다 하더라도 해야 할 투자는 해야 한다"며 "AI 분야에서 뒤처지는 것은 큰 리스크가 될 수 있는 만큼 (SK그룹 차원에서) 관련 투자를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장기적으로는 해외 인재를 국내에 유치해 가로막힌 성장의 물꼬를 트는 '메가샌드박스' 도입을 제안했다. 최 회장은 "각 지역에 메가샌드박스를 만들어 AI 실험장과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면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며 "해외 인재가 일정 기간 국내에 머무르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그린카드' 등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최 회장은 "제조업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마진이 높은 소프트 상품과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한식 산업화 등 '소프트머니'를 발굴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최 회장은 기업인으로서 한국 경제에 대한 고민을 이어가는 이유도 공유했다. 그는 "선친이신 고(故) 최종현 선대회장께서 국가 경제에 기여해야 한다는 말씀을 늘 하셨다"며 "기업은 단순히 경쟁을 통해 성장하는 주체가 아니라 공동체와 함께하고 사회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