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전 10시 특검팀은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추 전 원내대표를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이날 오전 9시 54분께 서울고검 청사에 도착한 추 전 원내대표는 취재진 앞에서 "무도한 정치탄압에 굴하지 않고 당당히 맞서겠다"고 말했다.
이어 "계엄 당일 총리, 대통령과 통화 후 의원총회 장소를 당사에서 국회로 바꾸고 의원들과 함께 국회로 이동했다. 만약 대통령과 공모하여 표결을 방해하려 했다면 계속 당사에서 머물지 왜 국회로 의총 장소를 바꾸고 국회로 이동했겠나"라고 주장하며 "오늘 당당하게 특검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른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당시 그는 계엄이 선포되자 비상 의원총회를 소집해 장소를 국회→당사→국회→당사로 세 차례 변경했다. 추 전 원내대표의 이 같은 지시로 인해 다수의 국민의힘 의원들은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계엄 해제 의결에 참석하지 못했다. 당시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민주당의 주도로 재석 190명·찬성 190명으로 가결됐지만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 108명 중 90명은 본회의장에 들어가지 못했다.
해당 의혹을 수사 중인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선포 직후 윤 전 대통령, 홍철호 전 정무수석,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도 통화한 사실을 파악했다.
특검팀은 이날 추 전 원내대표를 상대로 당시 이들로부터 여당 차원의 역할을 요구받은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조사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추 전 원내대표 측은 해당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그는 계엄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고 윤 전 대통령과 표결 방해를 논의하지도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총 장소 변경 이유에 대해서는 당초 의원들에게 국회로 모이라고 공지했으나 당시 당대표실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당사에서 열기로 해 엇박자가 생겼고, 여기에 국회 출입 통제가 더해져 불가피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해당 의혹 수사를 위해 특검팀 지난달 추 전 원내대표의 자택과 사무실, 의원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또한 여야 의원들 다수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면서 계엄의 밤 국회 내부 상황과 의원들 간 의사소통 내용 등을 파악하는 데 주력했다.
특검팀은 지난달 추 전 원내대표측에 출석을 통보했으나, 추 전 원내대표 측은 국회 국정감사 일정 등을 고려해 달라고 요청했고 결국 30일 출석이 결정됐다.
이날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를 상대로 제기된 의혹 전반을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