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인증·수출 지원기관 정보 총집결...국표원, '해외인증 트렌드' 개최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국내외 인증·수출 지원기관의 최신 정보를 한번에 볼 수 있는 설명회를 마련했다.

산업통상부 국가기술표준원은 5일 SETEC 컨벤션센터에서 해외인증 지원기관 협의체, 글로벌 인증기관과 합동으로 '해외인증 트렌드 2025'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최근 유럽은 글로벌 환경보호를 위해 에코디자인 규정을 제정, 2027년부터 섬유제품에 대해 디지털 제품 여권(DDP)을 도입할 예정이다. 또 사이버복원력법을 제정해 디지털제품의 보안을 강화하고 이에 대한 인증을 요구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식품, 화장품 등에 대한 할랄인증을 2026년 10월부터 의무화할 방침이다. 인도는 산업안전을 위해 기계, 전기장비 등에 대한 BIS 인증을 시행하는 등 신흥시장의 인증제도도 강화되는 추세다.

  이번 행사는 이러한 글로벌 기술규제 및 인증제도 변화에 우리 기업이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화장품, 식품, 섬유 등 소비재 중심으로 미국·유럽연합(EU) 및 신흥시장의 최신 인증제도 동향을 제공해, 기업들이 내년도 수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마련됐다. 코트라, 한국무역협회 등 수출지원기관의 지원사업을 종합 안내할 계획이다.

 김대자 원장은 "세계 각국은 자국의 환경, 안전, 산업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규제와 인증제도를 강화하고 있다"며 "우리 수출기업이 복잡한 인증 절차를 보다 신속히 해결하여 수출에 성공할 수 있도록 해외인증 지원 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