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에도…2명 중 1명 "내년 상반기 집값 오른다"

  • 부동산R114 1458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 상승 전망 52%·하락 14%·보합 34%

사진연합뉴스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지는 가운데 시장 참여자 절반 이상이 내년 상반기 집값 상승을 전망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1458명을 대상으로 '2026년 상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한 결과 52%가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격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021년 하반기 전망 조사에서 상승 전망이 62%를 기록한 이후 5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하락한다는 응답은 14%, 보합 전망은 34%였다.

가격 상승 전망 이유로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5.37%)이 가장 많았고 이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12.63%), '서울 등 주요 도심 공급 부족 심화'(10.9%), '정부의 주요 규제에 따른 매물 잠김'(8.91%),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8.78%), '대출규제에 따른 풍선효과'(6.52%) 등 순이었다.

부동산R114는 "현 정부 출범 이후 6·27 대책부터 최근 10·15 대책까지 다양한 수요 억제 조치가 나왔음에도 서울 주요 아파트와 수도권 핵심 지역 중심으로 신고가 현상이 이어지며 수요층의 불안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집값 하락을 전망한 응답자의 38.16%는 이유로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를 들었다. 이어 '경기 침체 가능성'(15.94%), '대출 금리 부담 영향' 10.63%,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 8.21%,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 확대 영향' 7.25% 순이었다.
 
사진부동산R114
[사진=부동산R114]

임대차시장에 대해서도 오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전셋값은 상승 57.75%, 하락 9.26%로 격차가 6.2배로 벌어졌다. 월세는 상승 60.91%, 하락 5.28%로 11.5배까지 격차가 나타났다. 10·15 대책으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제한되면서 전세 물건이 부족해진 데다가 빌라 전세사기와 대출 규제 영향으로 '전세의 월세화' 속도가 빨라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셋값 상승 이유로는 '매수심리 위축에 따른 전세수요 증가'가 3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물건 공급 부족' 23.75%, '서울 등 주요 인기 지역의 입주물량 부족' 14.73%,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 9.74% 등이 뒤를 이었다.

전셋값 하락 전망 이유로는 '정부의 전세시장 안정대책 효과' 23.70%,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 20.74%, '전세대출 부담감에 따른 월세시장 이탈' 13.33% 등이 선택됐다.

상반기 부동산 시장 핵심 변수로는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환경 변화 여부'(17.01%)가 가장 많은 응답을 기록했고 이어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 여건'(16.8%),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여부'(14.75%) 등 순이었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부동산 규제 관련 응답이 늘고, 대외 경제 여건과 금리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줄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12일 동안 전국 145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2.57%포인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