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숏폼 플랫폼 ‘클립’에 창작자 편의성을 높이는 기능을 추가하고, 변화하는 콘텐츠 소비 패턴에 맞춰 새로운 보상 모델을 도입한다고 17일 밝혔다.
네이버 클립은 아웃도어·패션·뷰티·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 생태계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관심사에 맞는 콘텐츠를 쉽게 탐색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특히 지난 8월부터는 영상뿐 아니라 이미지·텍스트 기반의 짧은 콘텐츠까지 아우르는 형태로 외연을 확장했고, 9월부터는 일평균 이용자 수가 1000만 명을 넘어서며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네이버는 콘텐츠 소비 방식 변화에 대응해 ‘피드형 보상’ 모델을 도입한다. 그동안은 클립에서 게시된 콘텐츠의 유효 조회 수를 기준으로 광고 수익 일부를 배분했지만, 새 모델은 홈피드에 노출되는 숏폼 영상까지 수익화 범위를 넓힌다. 해당 보상 모델은 11월부터 시범 운영되며, 내년 중 정식 도입된다.
네이버는 창작자가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광고 인센티브 프로그램 △브랜드와의 연계를 돕는 ‘브랜드 스폰서십’ △스마트스토어 상품 판매 수익을 공유하는 ‘쇼핑 커넥트’ △‘오늘 여기 클립’ 및 시즈널 챌린지 등으로 보상 체계를 다각화해 왔다. 회사 측은 “선순환적 창작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원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정보 태그’ 기능도 대폭 강화한다. 사용자와 크리에이터가 콘텐츠를 네이버의 다른 서비스와 쉽게 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장소 방문 경험을 기록하는 ‘장소 태그’는 전년 대비 약 두 배, 제품 홍보·소개에 쓰는 ‘쇼핑 태그’는 약 350% 증가하는 등 정보 태그 활용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5월에는 스마트스토어 상품 판매에 참여할 수 있는 ‘쇼핑 커넥트’ 태그를 추가했고,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방송·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태그를 신설했다. 네이버는 스포츠, 경제 등으로 태그 카테고리를 더 넓혀갈 계획이다.
아울러 콘텐츠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이용자가 해당 상품·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했다는 의미의 ‘인증’ 마크도 도입한다. 네이버페이 구매 이력 또는 네이버 예약을 기반으로 인증 여부가 표시된다. 또한 인공지능(AI)이 콘텐츠 속 장소·이미지를 자동 분석해 관련 태그를 추천하는 기능도 새롭게 제공한다.
개별 프로필에는 ‘장소기록’ 탭과 ‘쇼핑기록’ 탭이 신설돼, 태그가 포함된 콘텐츠만 모아볼 수 있다. 이용자들은 관심 분야별 콘텐츠를 더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네이버는 추천·인기·스팟판에 이어 팔로우한 크리에이터 콘텐츠를 모아보는 ‘구독판’을 새롭게 추가하고, 크리에이터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1:1 대화 기능도 제공한다.
김아영 네이버 콘텐츠 서비스 리더는 “이용자는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신뢰 가능한 콘텐츠를 탐색하고, 관련 상품이나 장소와 쉽게 연결될 수 있게 됐다”며 “창작자는 AI 기반 기능을 통해 더 간편하게 정보를 연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네이버는 양질의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가치를 존중하고 그에 합당한 보상을 제공하며 창작 생태계 확장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