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4년 8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0·15 대책’ 전 아파트 막판 매수세가 집중된 여파로 풀이된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공동주택 매매 실거래가 지수를 보면, 9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2.75%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21년 1월(3.15%)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실거래가 지수는 시세 중심의 가격 동향과 달리 실제 거래가격을 동일 단지, 동일 주택형의 이전 거래가격들과 비교해 지수화한 것이다. 실거래가 지수가 오른 것은 해당 월의 거래가격이 이전 거래가격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지난 6월 2.36% 상승해 상승 거래가 많았지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여파로 7월(0.97%)과 8월(-0.02%)에는 직전 거래와 비슷하거나 낮은 가격에 팔리는 등 약보합세를 기록한 바 있다.
그러나 9·7 공급 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등 규제 가능성으로 한강벨트 등을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증가하며 전체 실거래가 지수도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권역별로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이 3.85%로 2020년 7월(4.68%)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이어 마포·서대문·은평구가 위치한 서북권이 3.11%를 기록했다. 성동·광진구가 있는 동북권은 2.48%, 영등포·양천·동작구 등의 서남권은 2.39%, 용산·종로·중구 등의 도심권도 2.48% 올랐다.
수도권 전체로는 서울과 경기(1.36%)의 상승 영향으로 1.69% 올랐다. 지방도 0.3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역시 1.09% 올라 2021년 9월(1.93%)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