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을 비롯한 미국 고위급 인사들이 2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우크라이나 측과 만나 미국이 마련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평화구상을 논의할 예정이다.
22일 악시오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우크라이나·독일·프랑스·영국 5개국은 오는 일요일 제네바에서 미국의 새로운 평화안을 놓고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추수감사절인 이달 27일까지 제안 수용 여부를 밝히라고 시한을 제시한 상황에서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논의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미국 대표단은 루비오 장관을 단장으로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 댄 드리스컬 육군장관 등이 참여한다. 드리스컬 장관은 지난 20일 키이우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만나 미국의 평화구상 초안을 전달했으며, 이후 제네바에 도착했다고 CNN은 전했다.
미 당국자는 악시오스에 "우리는 이 합의가 우크라이나에 가장 좋은 안이 되도록 우크라이나 측과 계속 협력하고 있다"며 "우리는 그들의 입장이 뭔지 말할 수는 없지만, 이 제안은 항상 그래왔듯이 미국, 우크라이나, 러시아 간의 협력의 산물"이라고 말했다.
총 28개 조항으로 구성된 미국의 평화구상은 미국과 러시아가 먼저 조율한 안으로, 우크라이나보다 러시아에 훨씬 유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과 유럽의 '집단방위' 방식 안전보장을 약속하는 대신,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전체를 러시아에 넘기고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을 차단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 내에서는 민주당을 중심으로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에 대한 지나친 보상안이라는 반발이 제기되고 있다.
우크라이나도 불만이 가득한 모습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구상의 초안을 받은 다음 날인 21일 "존엄성을 잃거나 핵심 동맹국을 잃을 위험을 감수하거나 어려운 조항 28개를 받아들이거나 혹독한 겨울을 보내야 하는 상황"이라며 "우리는 미국 및 모든 파트너와 차분히 협력하고 주요 파트너와 함께 건설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23일 열리는 미·우크라이나 고위급 협의에서 기존 구상의 어느 정도 수정이 이뤄질지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일부 조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크라이나에 제안한 구상이 최종안이냐는 질문에 "아니다. 내 최종 제안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미 당국자도 악시오스에 구상의 세부 사항이 초안과 달라질 수 있다면서 "이게 바로 우리가 (우크라이나와) 대화를 하는 이유이다. 말 그대로 협상의 정의(definition of a negotiation)"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