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이후 서울 내 아파트 전월세 44%는 재계약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0·15 대책 후 37일간(10월 16일∼11월 21일) 체결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2만여건 중 갱신 계약 비중은 44.4%를 기록했다. 대책 전 37일간의 갱신계약 비중 42.7%에 비해 1.7%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특히 기존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3중 규제’로 묶여 있던 강남구와 용산구 등 4개구의 갱신계약 비중이 10·15 대책 전 45.2%에서, 대책 후 49.2%로 급등했다. 나머지 21개 구의 재계약 비중은 10·15 대책 전 41.8%에서 대책 후 42.7%로 상승했다.
10·15 대책으로 1주택자 전세자금대출 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고, 규제지역 내 3억원 초과 아파트를 취득한 경우도 전세대출이 금지되는 등 전세대출에 규제가 강화되면서 지역 간·규모 간 상향 이동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대책 발표 직후 일시적으로 감소하던 전월세 물건은 최근 다시 증가했다.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전세로 돌리는 경우가 늘어나면서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로 임차인이 끼어 있는 집들은 매도하기 힘들어졌고,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이 2억∼6억원으로 축소되는 등 매수세가 위축된 것이 이유로 꼽힌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2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월세 물건 수는 4만4055건으로, 대책 발표일(4만8502건)에 비해 10.0% 증가했다.
서울 성북구(-15.7%)와 도봉구(-12.6%), 동대문구(-9.3%), 중랑구(-8.3%), 은평구(-6.9%), 강서구(-5.4%), 서대문구(-0.2%) 등 8개 구는 대책 이후 전월세 물건이 감소했다. 반면 송파구는 대책 발표날 3550건에서 현재 6526건으로 43.4%, 강동구는 1624건에서 2115건으로 30.2% 증가하는 등 17개 구의 전월세 매물이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전월세 가격은 여전히 오름폭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10·15대책 발표 직후 0.12% 상승했지만 10월 마지막 주 조사에서는 0.14%로 그 오름폭이 커졌다. 11월 들어서는 지난주까지 3주 연속 0.15%의 상승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