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도 알려진 중국의 TV드라마 중에 "你好! 北京"(안녕! 베이징)이라는 것이 있다. 하지만 중국의 800년 고도 베이징은 이제 "拜拜! 北京"(바이바이! 베이징)이 될지도 모른다. 인구과밀과 환경오염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베이징 대신 다른 곳을 수도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홍콩 경제일보는 최근 중국 상무부의 메이신위(梅新育) 연구원이 파이낸셜타임스 중국어판에 기고한 글에서 비롯된 천도(遷都) 논쟁이 중국의 일부 전문가들이 이에 동조하면서 확산되고 있다고 13일 보도했다.
중국 상무부 메이신위 연구원은 수도를 인구과밀과 환경문제가 심각한 베이징에서 양쯔강 중하류 화둥(華東)지방의 중소도시로 이전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화둥지방은 장쑤·저장·안후이의 3개 성(省)과 샹하이를 포괄하는 지역이다.
메이 연구원은 "명과 청조 때는 북방 이민족 침략 방어를 위해 베이징을 수도로 삼았지만 지금은 교통과 통신이 발달해 이런 것이 무의미하다“고 주장했다.
중국의 역대 수도는 시안(西安·옛이름 長安)-뤄양(洛陽)-카이펑(開封)-난징(南京)-베이징 등으로 정치·군사적 필요성에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했다.
베이징은 853년째 수도로 존속하고 있지만 현재 인구 팽창과 대기오염, 사막화, 물 부족 등 많은 문제점이 등장하면서 천도론이 심심치 않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2001년1월 베이징에 황사가 극성을 부리자 당시 주룽지 총리는 "황사를 완화시키지 못하면 수도를 옮기겠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중국과학원 발행 '중국국가지리'는 최근 세계의 수도 이전 사례를 소개하면서 자국 천도의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제시했고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도 천도 문제가 잠시 거론됐었다.
한편 홍콩 경제일보는 중국인들 사이에서 천도가 시급한 현안까지는 아니지만 검토해볼만한 사안이라는 인식이 퍼져가고 있다고 전했다.
金鍾吉 기자 kjk54321@ajnews.co.kr
< '아주뉴스' (china.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