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년간 러시아를 포함해 체코, 헝가리 등 동유럽 지역이 우리나라 자동차 수출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3일 한국자동차공업협회(KAMA)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 업체가 러시아를 비롯해 동유럽 자동차 시장에 수출한 자동차는 2001년에는 겨우3만2206대에 불과했지만 6년뒤인 2007년에는 무려 1289.1% 증가한 44만7363대로 급증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동유럽 수출액 또한 2001년 2억2487만3000달러(통관 기준 수출액)였으나, 2007년에는 47억9312만7000달러로 6년 만에 2031.5%나 크게 늘어났다.
2007년의 자동차 수출량과 수출액도 2006년의 29만8341대, 29억6515만1000달러에서 각각 50.0%, 61.6% 늘어 수출규모에서도 동유럽 시장의 수출 확대가 두드러진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2004년 5월 폴란드에 위치했던 동구지역본부를 러시아 모스크바로 옮겨 동유럽 지역을 공략해 왔으며, 올 초에는 이를 다시 독립국가연합(CIS) 판매법인과 동유럽지역본부로 나눠 러시아를 포함한 CIS 시장과 동유럽 시장에 대한 판매 역량을 강화했다.
지난 2002년 10월 출범한 GM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GM대우의 출범도 동유럽 수출 증대 요인중 하나로 꼽힌다.
GM대우의 경우 2003년 전체 완성차 수출(26만4639대) 가운데 러시아를 포함한 동유럽으로의 수출량은 9.8%(2만5906대)였으나, 작년에는 전체(82만8144대)의 26.2%(21만7371대)가 동유럽으로 향했다.
한편 자동차 성숙시장으로 분류되는 미국과 서유럽으로의 수출은 수출량 기준으로 할 때 14.5%, 28.7%, 수출액을 기준으로 할 때 46.2%, 175.9% 각각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박용준 기자 sasori@ajnews.co.kr
< '아주뉴스'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