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이 5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선 결과가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정책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대선은 민주당의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과 공화당 존 매케인 상원의원의 대결이 확실시되고 있다. 아직 양측의 지지도는 승패를 가늠하기 힘들 정도로 박빙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언론들이 실시한 여론조사를 통해 두 후보에 대한 지지도는 각각 40%에서 50%를 나타내고 있다. 아직까지 당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한 후보는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두 후보의 승부를 가늠하기 힘든만큼 대선 이후 백악관의 입김이 연준의 통화정책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는 것도 쉽지 않다고 CNN머니가 최근 분석했다.
11월 대선에서 승리하는 후보는 연준 이사 7명 중 4명을 임명하게 된다. 어떤 인물을 연준 이사로 임명하는가가 향후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CNN머니는 전했다.
워싱턴 소재 정책 리서치 기관인 스탠포드그룹의 쟈렛 자이버그 애널리스트는 "누가 선거에서 이기는가에 따라 (연준의 정책)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4년 임기의 7명의 연준 이사 중 현재 공석인 2명을 포함해 모두 4명이 선거 이후 교체될 예정이다.
프레드릭 미시킨 연준 이사는 지난달 이번 여름이 끝나면 이사회를 떠나겠다고 사임 의사를 밝혔다. 랜들 크로즈너 이사는 지난 1월말로 이미 임기가 끝났다.
![]() |
||
<사진설명: 美 대선 결과가 중앙은행 정책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은 최근 의회 증언에 나선 버냉키 연준 의장> |
그러나 선거가 끝나더라도 올해 안에 연준 이사의 구성이 달라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상원 금융위원회의 크리스 도드 의장은 "올해 안에 이사진에 변경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두 후보의 경제 자문단은 대통령 당선 이후 통화당국자 인선에 대해 별다른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오바마 의원과 매케인 의원의 경제관을 보면 대략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매케인 의원은 지난 3월 주택시장 위기와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자본 증대를 위한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오바마 의원은 주택시장 침체의 주요 원인은 규제 감독의 실패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대조적이다. 그는 지난달 말 라스베가스에서 가진 연설에서 "규칙을 위반하는 금융기관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월가가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금리정책 역시 전망은 쉽지 않다는 평가다. 일반적으로 오바마가 매케인에 비해 금리인하를 선호하는 이사를 임명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다르다고 CNN머니는 전했다.
미국기업연구소(AEI)의 피터 왈리슨 연구원은 "지미 카터 전 대통령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인플레에 중점을 두지 않는 통화정책을 밀어부치면서 곤경에 처했다. 또 레이건 행정부 시절 인플레를 잡기 위해 연방기금목표금리를 사상 최고 수준으로 끌어 올렸던 폴 볼커 전 연준 의장이 오바마를 지지하고 있다는 점도 오바마의 향후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왈리슨 연구원은 말했다.
오는 2010년 1월31일로 임기가 끝나는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재임명 여부는 향후 경제 추이에 달려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스탠포드그룹의 자이버그 애널리스트는 "경제가 좋아지고 주택시장이 안정되면 버냉키는 더욱 큰 파워와 영향력을 갖게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