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은행권, 연체율 급증에 외화대출 '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8-06-15 16: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시중은행들이 원화대출은 크게 늘리고 있는 반면 외화대출 확대에는 주춤하고 있다.

최근 유가 등 원자재값 급등과 환율 상승으로 외화대출 연체율이 급증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은행들은 신규 외환대출을 자제하는 한편 대상업체의 리스크 관리에 적극 나서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주요 4대 은행의 외화대출 잔액은 5월말 156억4300만달러로 전월(161억6200만달러) 대비 5억1900만달러 감소했다.

은행별로 국민은행이 44억3600만달러에서 42억9600만달러로, 신한은행이 50억7200만달러에서 47억2500만달러로 각각 감소했다.

이처럼 은행권의 외화대출이 감소세를 보이는 것은 한국은행이 지난해 8월부터 해외사용 실수요 자금 및 제조업체의 국내 시설자금에 한해서만 외화대출을 허용하는 용도 제한을 실시한 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 여파로 해외자금 조달이 어려워져 외화 조달금리가 높아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최근 환율 및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제조업과 무역업을 중심으로 외화대출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어 시중은행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신한은행은 최근 영업점에 공문을 보내 "환율변동, 유가 및 원자재 상승 등으로 기업 수입성이 악화되고 자금난이 가중되고 있어 무역금융, 외화대출, 매입외환 등의 연체가 증가하고 있다"며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강조했다.

반면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과 중소기업대출 등을 포함한 주요 4대 은행의 원화대출 잔액은 5조5000억원 가량 증가해 대조를 이루고 있다.

결국 손쉽게 예대마진(대출금리와 예금금리 간 격차에 따른 수익)을 챙길 수 있는 원화대출은 늘리고 조달금리가 비싼데다 리스크까지 높은 외화대출은 기피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시중은행들은 신규 외화대출 기준을 까다롭게 적용하는 등 외화대출 확대를 자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업은행은 지난 3월말 외화 신규 대출을 사실상 중단했다가 이달 들어 극히 제한적으로 대출을 재개했다.

기업은행 외화대출 담당자는 "대출 수요는 많이 있지만 수출업체 가운데 수입결제나 기계수입과 같은 실수요 용도 대출만 우선적으로 해주고 있다"면서 "일반기업의 시설자금 대출은 사실상 지원이 어렵다"고 말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도 "자금차입이 여전히 어렵기 때문에 선별해서 대출을 시행 중"이라며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추고 환 리스크를 커버할 수 있는 제조업체나 금리를 높게 제시하는 업체에 우선 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