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제의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큰 폭 상향 조정되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다소 완화됐다. 그러나 하반기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미 상무부는 2분기 GDP 성장률을 지난달 발표한 1.9%에서 3.3%로 상향 조정한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전문가 전망치 2.7%를 크게 웃도는 것은 물론 지난 3분기에 기록한 4.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미국 경제의 최악의 상황은 지난 것이 아니냐는 낙관론이 솔솔 피어나고 있다.
![]() |
||
<사진설명: 미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큰 폭 상향 조정됐다. 사진은 세계 금융중심지 월스트리트> |
전문가들은 2분기 경제성장률이 대폭 상향 조정된 것은 정부의 세금 환급 효과에다 달러 약세에 따른 수출 호조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하고 있다.
2분기 수출 증가율은 이전 9.2%에서 13.2%로 상향 조정됐으며 이에 힘입어 무역적자는 3억7660만달러를 기록, 8년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날 GDP 성장률 수정치 발표에 대해 큰 호응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
세금 환급 효과가 일시적인 재료로 작용할 공산이 큰데다 수출을 제외하면 경제가 살아나고 있다는 신호는 아직 뚜렷하게 포착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도이치방크의 칼 리카도나 이코노미스트는 "수출을 제외하면 미국 경제는 상당히 악화된 상태"라면서 "소비와 지출은 하반기에도 약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월가는 3분기 성장률은 2%를 기록하고 4분기 역시 성장률이 둔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이날 GDP 성장률 수정치 발표에 대해 금융시장은 증시 강세와 채권 약세, 달러 혼조로 반응했다.
이날 다우지수는 1.85% 상승해 1만1715.18을 기록했고 나스닥은 1.22% 오른 2411.64로 마감했다.
채권금리 벤치마크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0.023%포인트 오른 3.7950%를 기록했다.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