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달 25일 이후 100배 늘어
코스피가 연일 급락하면서 개인투자자 담보부족 사례가 폭증하고 있다. 이 경우 기한내에 돈을 채워넣지 않으면 담보부족에 따라 반대매매에 들어간다.
1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코스피가 마지막으로 1500선 이상에서 마감했던 지난달 25일과 장중 1200선 이하로 떨어졌다가 1241로 마감한 10일 사이 증권사별 깡통계좌(담보유지비율이 100% 미만인 계좌)를 포함한 담보부족 계좌(담보유지비율이 140% 이하인 계좌)는 최대 100배 넘게 급증했다.
현대증권 담보부족 계좌수는 지난달 25일 11개에서 10일 1363개로 무려 123배 폭증했다. 담보부족 금액도 1100만원에서 46억4900만원으로 늘었다.
삼성증권도 42개에서 679개로 16배 늘었고 우리투자증권은 71개에서 311개로 늘었다.
미래에셋증권은 10일 현재 증권담보대출액이 1000억원으로 연초 800억원에 비해 25%가량 늘었다고 밝혔다.
증권사에 담보로 잡힌 주식 시세가 떨어져 담보율이 규정된 담보유지비율에 미치지 못하게 되면 투자자는 부족액 만큼 추가로 담보를 맡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증권사는 손실을 막기 위해 5일 뒤 투자자 주식을 비롯한 유가증권을 임의로 처분(반대매매)할 수 있다.
조준영 기자 jjy@ajnews.co.kr
<ⓒ'아주경제'(www.ajnews.co.kr)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