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금융기관, 기업지원체제 구축해야"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기자 = 이명박 대통령은 4일 미국발(發) 금융위기가 악화되고 있는 것과 관련, "이 어려울 때, 어떻게 보면 비상시국이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코엑스에서 열린 무역진흥확대회의 인사말을 통해 이같이 밝힌 뒤 "미국에 이어 중국과 일본과도 통화스와프를 하게 될 것인데 그렇게 되면 외화유동성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됐다고 보고 이제는 완전히 실물경제"라면서 "그 중에서도 수출이 가장 큰 국민적 관심사이고, 이게 내년도 경제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나라 가운데 하나로, 수출이 우리 경제의 생명줄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 수출업자들이 시장을 다변화하고 새로운 상품을 만들어 내 내년에도 좋은 성과를 냈으면 좋겠다는 것이 우리 모두의 바람"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정부가 하느라고 하지만 일선 창구에 가면 정부가 하고자 하는 대로 잘 이뤄지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다고 본다"면서 "과거에 경험해 보니까 정부가 뭘 해 준다, 돈을 푼다 발표하고 은행에서 어떻게 한다고 해도 창구에 가 보면 아주 냉정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어려울 때는 은행이 더욱 냉랭해 진다. 돈이 필요 없을 때는 갖다 쓰라고 하는데 정작 필요할 때는 안면을 바꾸는 경우를 많이 봤다"고 지적했다.
이는 은행 등 금융기관이 위기 발생시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부터 먼저 중단하면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잘못된 관행에 대해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출을 하고 만기연장을 해 줘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마무리발언에서도 "금융기관들의 조치가 신속해야 한다"고 거듭 역설한 뒤 "불경기 때 돈을 잘못 관리해 문제가 생기면 책임을 져야 하니까 금융기관이 조심스러워 하고 그래서 어려움이 있는데 한국은 그간 `리스크 테이킹'(risk taking)을 잘해 왔다"고 평가했다.
또 기업에 대해서는 "이럴 때일수록 기업은 진취적, 도전적 경영을 해야지 너무 수세적으로 해서는 안된다"면서 "무모하게 해 서도 안되지만 치밀하게 하는 기업이 위기 때 성장할 수 있다. 수세적으로 하다보면 결국 경기가 좋아졌을 때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잡지 못한다"고 충고했다.
이 대통령은 "내년 상반기까지 경제가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고, 따라서 비상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부는 과감하게 규제를 없애 국가경쟁력을 갖는 쪽으로 일을 하려 한다"면서 정부와 금융기관 등이 지원체제를 구축, 기업경영 과정의 어려움을 직접 청취하는 등 기업의 위기극복에 앞장설 것을 지시했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개별 기업이 일을 하다가 애로가 있을 때 그런 내용들이 바로 주무 장관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하도록 하겠다"면서 "경영을 잘 하던 기업이 일시에 위기를 맞을 수 있고, 또 고비를 넘기면 경영이 정상화될 수 있는데 이런 기업들은 도와야 한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은행도 그렇게 해야 하고 정부도 그렇게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