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폐수와 하수슬러지, 축산분뇨의 재이용으로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바이오가스 플랜트가 국내 최초로 선보였다.
13일 에너지관리공단은 충남 아산 환경사업소에서 아산시장과 아산시의회 의장, 대우건설 관계자, 관련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최초 통합형 바이오가스 플랜트를 완공하고 준공식과 함께 본격 상업가동을 들어간다고 밝혔다.
국내 기술로 만든 통합형 바이오가스 플랜트는 단일 원료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기존 플랜트와 달리 음식물폐수와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등을 통합 소화하고 하루 최대 100톤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한다.
이번 설비는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인 '고농도 유기성 바이오매스의 선택적 고율 혐기성공정 적용을 통한 바이오가스 발전’ 사업의 일환으로 정부지원 약26억4000만원을 포함해 총35억4000만원 투입으로 개발·설치를 완료했으며 대우건설이 주관했다.
이 시설로 하루 100톤의 혼합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할 경우 1일당 1416㎥의 바이오가스가 만들어져 1일당 2867KWh의 전력생산이 가능해진다.
이는 약 318가구의 하루 사용량으로 하수처리장 1일 사용전력량인 2만490KWh의 약 12% 정도 차지하며 하수처리장의 교반장치 가동에 쓰일 예정이다.
또 전력생산과 별도로 1일 5734Mcal의 온수를 만들 수 있어 일부는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의 가온에 쓰고 향후 히트펌프를 사용할 때는 냉방열로 활용할 계획이다.
발생 온수는 가정용 지역난방수 요금인 1Mcal당 52.48원을 감안할 때 연간 360만원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과부하로 본래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던 기존 소화조를 안정화시키고 가스발생 효율을 증대시키는 등 기존 공정의 한계를 대폭 개선했다.
에너지관리공단 관계자는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투기 금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바이오가스 플랜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기존 시스템을 개선해 유기성 폐기물의 통합적 처리가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또 “이번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준공은 국가 신성장동력인 ‘저탄소 녹색성장’에 한발 더 다가서기 위한 밑거름으로 작용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준성 기자 fresh@
<저작권자(c)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