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내년 1월 2일 오전 10시 청와대 집무실에서 신년 연설을 한다.
청와대 이동관 대변인은 28일 기자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이 대통령이 20분 정도의 신년연설을 통해 경제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데 힘을 모으자는 내용을 주로 강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위기 속에서 어떻게 기회를 만들 것인지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설명하고 국민적 단합과 의지, 경제 각 주체의 고통분담 등을 호소할 것"이라며 "비상한 상황인만큼 비상한 각오와 자세로 대처해야 한다는 점을 부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또 "단순히 위기를 극복하는 것 뿐 아니라 바로 지금이야 말로 미래에 대비한 투자를 해야 한다는 점도 역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부패.비리에 대한 척결 의지를 재차 천명키로 했으나 개각과 청와대 진용개편 등 인적쇄신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는 언급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변인은 이와 관련, "연말까지 업무보고를 마치고 새해를 준비하고 있는데 인적쇄신 얘기가 왜 나오느냐"면서 "전에 이 대통령의 인사 철학을 말했듯이 국면 전환을 위한 인적 쇄신은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이번 신년연설은 예년에 비해 상당기간 앞당긴 것으로 내년 초부터 경제살리기를 위한 신속한 행보를 위한 속도전의 일환이라고 청와대 측은 설명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지난해는 1월23일, 2006년에는 1월18일 신년연설을 했었다.
이 대통령은 신년연설이 앞당겨 실시되는 데다 부처 업무보고 등의 일정을 감안, 당초 29일로 예정됐던 이번 주 라디오연설은 하지 않는 대신 1월12일부터 재개키로 했다.
아울러 내년 2월 취임 1주년을 전후로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어서 이번에는 별도 신년 기자회견을 갖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