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쌍용자동차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피해를 입게 된 협력업체들에 대한 금융 및 고용 지원을 추진 중이다.
금융위원회와 지식경제부는 12일 오전 실물금융종합지원단 회의에서 쌍용차 협력업체의 대체 판로 개척 및 유동성 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정부는 쌍용차의 우량 부품 납품업체들이 대체 판로를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와 이들 기업이 일시적 자금난으로 흑자도산하지 않도록 은행권의 중소기업 신속지원 프로그램(패스트 트랙)을 적용하는 내용을 검토하기로 했다.
패스트 트팩의 경우 기업의 신용등급에 따라 A등급은 주채권은행이, B등급은 채권단회의가 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C등급은 워크아웃 등을 통해 해법을 찾도록 돼 있다.
현재 쌍용차의 1차 협력업체 중 쌍용차 전속 업체는 44개, 쌍용차와 일부 거래를 하고 있는 업체는 213개로 파악되고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대체 판로 확보를 위해 정부가 마케팅 지원을 할 수 있지만 자동차업종의 특성상 쉽지 않은 문제"라며 "우선 자금 지원이 가능한지 살펴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쌍용차에 납품한 제품에 대한 채권 확보 문제에 대해서는 "일단 법원의 회생 계획 인가가 나온 후 검토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법원에서 법정관리에 대한 결정이 나오기 전에 정부가 쌍용차 사태에 대해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기는 어렵다"며 "다만 쌍용차 하청업체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고용 유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부위원장은 "패스트 트랙을 통해 협력업체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