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형 대입전형 확대 공동선언'은 대입 자율화로 인한 혼선을 막고 각 대학이 책임있는 입시안을 만들겠다는 내용의 `대국민 약속' 형태로,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주도로 발표될 예정이다.
대교협은 오는 7월 초로 예정돼 있는 전국 대학 총장 하계 세미나에서 공동선언을 채택,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대교협 박종렬 사무총장은 "점수 위주로 학생을 뽑는 기존 방식이 후진형 입시였다면 선진형 입시란 인간의 절대적 가치, 잠재력, 창의력 위주로 뽑는 것 아니겠느냐"면서 "공동선언에도 이런 방향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점수가 아닌 잠재력 위주로 뽑는' 대입 전형방식은 그동안 대학들이 수차례 강조해 온 내용이지만 아직은 구상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 때문에 공동선언에 얼마나 구체화된 형태로 실천방안이 담기게 될지에 관심이 집중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관련, 이명박 대통령은 12일 서울의 한 중학교를 방문한 자리에서 "성적순으로 잘라 들어가는 입시제도는 바뀌어야 한다. 대학은 수능성적이 안 좋아도 잠재력이 있는 학생을 뽑아야 한다"고 지적해 대입 전형 방식의 큰 변화를 예고했다.
안병만 교과부 장관도 같은 날 교총 간담회에서 "대입이 무질서로 가선 안된다"고 경고한 데 이어 교과부는 13일 "대입 완전 자율화는 2012년 이후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한다"는 입장을 재천명했다.
이 대통령과 안 장관의 발언 속에는 향후 추진될 대입 제도 개혁과 관련한 중요한 메시지가 숨어 있다는 게 교육계의 분석이다.
즉, 대입 제도 개혁이 대학의 자율에만 맡겨지지 않고, 개혁방향은 성적에 따른 줄세우기를 타파하는 쪽으로 간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이런 기류 때문에 공동선언에는 상징적인 `선언'을 넘어서는 구체적인 `행동계획'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대학들은 이미 학생들의 잠재력을 보고 선발하는 `입학사정관 전형'을 해마다 확대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교과부도 입학사정관제 지원 예산을 지난해 157억원에서 올해 236억원으로 늘렸다.
대교협 관계자는 "점수 위주로 학생을 선발해선 안된다는 것에 대학들도 충분히 공감하고 이미 그런 노력을 하고 있다"며 "공동선언에도 중등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대학이 어떤 노력을 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담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