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국토부, 갯벌복원 공청회 개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02-17 11: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국토해양부는 갯벌복원 종합계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17일 오후 2시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에서는 관련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환경단체 및 지역주민 등 약 2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갯벌복원 대상지 현황조사 결과 및 국내외 갯벌복원 기술개발 동향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반영하여 오는 3월 갯벌복원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앞으로 복원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지침작성 및 전문가그룹(W/G)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또 갯벌복원 경험이 많은 미국 독일 일본 등과도 지속적으로 교류협력을 진행할 계획이다.

국토해양부 윤현수 해양생태과장은 "갯벌복원사업의 성공 여부는 해당 지자체와 지역민의 복원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협조가 가장 중요하다"며 "올해 시범사업을 거쳐 단계적으로 1개 시·군당 1개 복원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관련 전문가 및 지자체를 통한 갯벌복원 대상지 조사결과, 총 15개 시·군에서 81개소 약 32㎢에 달하는 면적에 대해 복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전남이 총 42건 22㎢로 가장 많은 복원소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갯벌복원 소요에 대한 전체적인 사업비는 약 2250억원에 이른다.

갯벌복원 소요지가 81개소에 이른 것은 최근 간척지의 경제성 등 효용가치가 저하되고 육상 오염물질로 인한 환경피해가 가속화되고 있어 매립 등 당초 이용목적이 실효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순천만이 연간 250만 명이 찾는 생태탐방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각 지자체가 갯벌을 지역경제 활성화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도 갯벌복원 소요를 증가시킨 원인으로 분석된다.

국토해양부는 인근 습지보호지역 지정여부, 생태계 기능개선 가능성, 향후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순천, 고창 등 17개 우선사업 대상지를 선정․발표하였으며, 복원의 목적, 경제적 타당성, 기술적 가능성, 생태관광유발효과 등을 종합 고려하여 시범대상지 3~4개소를 선정하여 금년부터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갯벌은 해양생물의 서식처 제공은 물론, 오염물질 정화, 심미적 가치제공, 홍수조절 기능은 물론 기후변화 기능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국민들의 휴식 및 친수공간이자 생태탐방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갯벌의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우리보다 앞서 연안습지 파괴를 경험했던 선진국들의 경험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 50년간 연안습지의 40%를 잃어버렸던 일본은 80년대부터 'SEA BLUE', 'Eco-Port' 사업 등을 추진해 현재까지 1200ha를 복원했으며 올해 안에 총 3500ha를 되살릴 계획이다.

또한 미국은 자국 내 연안습지의 50% 이상이 훼손되자 순손실 방지제(No Net Loss) 및 '연안습지 계획보호복원법(CWPPRA)'을 시행해 갯벌 보호에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의 갯벌복원 사례. 오른쪽 사진은 갯벌항구 주변 염습지 복원 전후, 왼쪽은 바티퀴토스 석호 복원 전후.


특히 지난 1월 임기를 마친 부시 대통령은 2004년 지구의 날을 기념하여 5년간 3백만 에이커(12,140㎢)의 습지 복원·보전 계획을 발표했으며 2005년부터 4년간 39억 달러(한화 5조700억원)를 투자하여 예정보다 1년 일찍 목표를 달성했다.

미국 행정부는 올해에도 약 9700억원을 투자하여 4,400㎢ 의 습지를 복원할 예정이다.

유희석 기자 xixilife@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