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단체들이 대거 참여하는 대정부 단체교섭이 4월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19일 공무원 노조들에 따르면 이들 3대 공무원 노조와 전국광역자치단체공무원노조연합(광역노조), 전국교육기관공무원노조연맹(교육연맹), 전국기능직공무원노조(기공노), 법원공무원노조(법원노조), 서울시청공무원노조는 지난 17일 대표자회의를 열어 '2009년 대정부 단체교섭'에 참여할 본교섭위원 배정기준에 합의했다.
이들 8개 단체는 지난해 9월 정부에 개별 또는 공동으로 단체교섭을 요구한 이래 공동교섭단을 구성키로 하고 여러 차례 실무협의를 벌여왔으나 교섭위원 배정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왔다.
이들 단체는 그러나 이번에 '2009년 대정부 단체교섭'에 참여할 10명의 노조 측 본교섭위원으로 전공노.민공노.공노총에 각 2명, 광역노조.교육연맹.기공노.법원노조에 각 1명을 배정키로 합의했다.
이들은 또 '2009년 대정부 단체교섭' 이후부터 공동교섭에 참여한 전체 조합원 수의 10% 미만인 노조에는 교섭위원을 배정하지 않기로 했다.
이들 노조는 교섭창구가 단일화됨에 따라 공동교섭안을 금명간 마련한 뒤 정부 측에 본교섭을 요구할 예정이다.
이어 이르면 4월 중 본교섭을 시작해 정기국회 전인 9월까지 마무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공무원 노조와 정부 간 단체교섭은 2007년 7월 처음으로 열렸지만 공노총을 주축으로 진행됐다. 당시 최대 조직이던 전공노(분리 전 민공노 포함)는 법외노조여서 교섭에서 배제됐다.
공무원노조의 한 관계자는 "올해 단체교섭은 개별노조를 포함해 100여 개 공무원 노조, 19만여 노조원을 대표하는 사실상의 첫 공동교섭"이라며 "조합활동 보장, 후생복지, 조직 개편 및 인력 감축 문제 등이 중점 의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