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월간 둔화세를 보이던 소비자물가가 2월 4.1%를 기록하며 상승세로 돌아섰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월 5.9%로 고점을 찍은 뒤 8월 5.6%, 9월 5.1%, 10월 4.8%, 11월 4.5% 12월 4.1%, 올해 1월 3.7%을 기록해 3%대까지 떨어졌으나 2월 4.1%를 기록하며 둔화세가 반전됐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3%, 지난달에 비해 0.8% 상승했다.
생선류, 채소류, 과실류 등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1.4%, 지난달에 비해 1.7% 올랐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5.2%, 전월대비 0.4% 상승했다.
부문별로 작년 동월비 증가 폭을 보면 0.5% 하락한 교양, 오락부문과 전월대비 보합인 통신 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부문이 모두 상승했다.
특히 휘발유가 10.9%, 금반지 14.6% 상승의 영향으로 교통부문 2.9%, 기타잡비부문이 3.6% 올랐다.
공업제품도 5.0% 올랐다. 이중 석유류는 8.5% 하락했다. 농축수산물도 5.4% 상승했고 농산물이 2.1% 오른 것에 비해 축산물은 12.8%로 크게 늘었다.
서비스 부문은 3.4% 오른 가운데 공공서비스는 1.8%, 개인서비스 4.4%, 집세는 2.1% 각각 상승했다.
기여도별로는 서비스 부문이 2.09%포인트며 이 가운데 개인서비스 부문이 1.54%포인트, 공공서비스 0.30%포인트, 집세가 0.22%포인트 순이었다.
공업제품의 기여도는 1.55%포인트였으며 석유류는 -0.52%포인트까지 내려갔다. 농축수산물은 물가상승률 중 0.46%포인트 기여했다 .
작년 동월과 비교한 품목별 물가 상승률을 보면 농축수산물 중에서는 돼지고기(25.3%), 귤(59.6%), 양파(69.3%)로 많이 올랐고 배추(-30.7%), 파(-40.9%), 감자(-35.1%) 등은 하락폭이 컸다.
공업제품 중에선 금반지(49.5%), 우유(35.1%), 비스킷(46.7%), 빵(17.2%)이 오른 반면 휘발유(-8.7%), 경유(-8.4%), 자동차용LPG(-10.6%), 등유(-6.6%)는 내려갔다.
전세(2.4%), 월세(1.7%)는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개인서비스는 사립대 납입금(7.1%), 유치원 납입금(8.4%), 공동주택관리비(2.0%), 삼겹살(12.0%), 돼지갈비(9.4%), 미용료(7.2%), 보육시설이용료(6.6%), 김밥(21.7%), 대입 종합학원비(2.6%) 많이 올랐으며 단체 해외여행비(-3.2%)가 유일하게 떨어져 눈길을 끈다.
지역별로는 38개 도시에서 모두 상승한 가운데 16개 시도별로는 서울이 3.9%, 강원이 3.5% 올랐고 울산과 전남이 각각 4.2%, 4.3%로 올라갔다.
특·광역시를 제외한 31개 도시별로는 수원과 의정부가 각각 0.6% 상승해 4.2%, 4.4%를 기록했고 목포와 순천은 1.1%, 1.0% 올라 4.4%, 4.6%를 보였다.
김한나 기자 hanna@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