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 수립
정부가 기술기반 글로벌기업창출 및 육성을 위해 올해 총 3000억원의 예산을 조성키로 했다.
지식경제부가 16일 발표한 ‘제3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기술기반 중소·중견기업이 연구개발(R&D), 사업화 등 기술금융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향후 공공재원 600억원와 민간 2400억원을 합쳐 3000억원을 마련 한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R&D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기술이전·사업화 예산도 단계적으로 정부 R&D 투자의 3%이상으로 증액키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R&D 예산이 12조3300억원임을 감안할 때 3000억원 이상의 금액이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지난해 정부의 기술이전·사업화 예산은 총 778억원으로 정부 전체 R&D 예산 10조8423억원의 0.72%에 불과했다.
내년부터 2011년 까지 시행될 예정인 해당 3차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혁신적 기술을 개발, 발굴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전주기적 기술이전과 사업화 촉진시스템 구축에 주력키로 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정부는 △국가기술자원의 발굴․관리 강화 △기술금융 공급 확대 및 시스템 구축 △전주기적 기술이전·사업화 지원시스템 구축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기술이전·사업화 기반 확충 등 5대 핵심과제와 20대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기술이전·사업화 정책방향을 1차(2000~2005년)는 기술시장 조성에, 2차(2006~2008년)는 기반확충에 중점을 뒀다”며 “이번 3차는 기술기반 글로벌기업의 창출 및 육성이라는 실질적인 성공사례 창출에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은 ‘기술 이전·사업화 촉진법’에 따라 3년마다 수립되고 있다.
김재훈 기자 jhkim@ajnews.co.k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