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오는 2018년까지 장기전세주택(시프트) 공급량을 총 40만가구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월 서울시가 발표했던 11만가구보다 4배나 많은 물량으로 서울 지역 주택 총량(250만 가구)의 6분의 1에 달한다.
오세훈 시장은 지난 20일 한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5월 시행될 주택법 개정안에 민간 개발의 용적률을 높여주는 대신 일부를 장기전세주택 물량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담겼다"며 "시프트를 2018년까지 총 40만가구로 늘려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6월부터 시행될 임대주택법에 장기전세주택이 새 유형으로 규정돼 하반기부터 경기·인천 등 수도권을 비롯해 지방 곳곳에서 시프트를 도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재산증식 수단으로서 집의 가치가 사라지면 국내 금융시장이 재편되고 금융기법이 발달해 자본이 축적되는 선순환 방식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유휴자금이 금융시장으로 들어가면 서울이 세계적 금융 중심지로 발돋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같은 계획은 무리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장기전세주택의 법적 근거를 신설한 임대주택법이 곧 시행되는 만큼 여러 조건이 최적화됐을 때 그 정도까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 사항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10년 안에 40만 가구를 공급하는 것에는 무리"라고 말했다.
한편 시프트는 주변 전셋값의 80%로 공급받아 최고 20년까지 살 수 있는 서울시형 임대주택의 한 종류다.
권영은 기자 kye30901@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