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증마크, ‘KC’마크로 통합

정부 ‘종합관리시스템’ 구축 본격화

정부가 제품을 만들어 팔기 위해서는 반드시 취득해 붙여야 하는 13개 법정 강제인증마크를 ‘KC마크’ 하나로 통합한다.

중복인증에 따른 기업의 경제적 부담을 줄임은 물론 소비자들이 하나의 인증마크만을 확인해 좋은 제품을 고를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국가표준기본법이 개정 공포됨에 따라 범정부적 국가표준인증관련 업무를 체계적으로 총괄조정하는 ‘종합관리시스템’ 구축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종합관리시스템은 △20개 유형의 법정강제인증의 인증심사절차를 국제기준과 부합시켜 국내실정에 맞도록 9개 유형으로 간소화 △기존 13개 법정강제인증마크를 KC마크로 통합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는 KC마크 도입에 따라 인증심사절차의 간소화 및 중복인증 해소로 기업에게는 인증비용 절감(3800만원→1300만원)과 소요기간 단축(5.5개월→4개월)이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7조3000억원의 매출액이 증가되고 6만8000여명의 고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소비자들의 경우 제품에 붙어 있는 다양한 인증마크로 인한 혼란을 없앨 수 있고, 양질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표원 관계자는 “KC 마크를 10대 국가브랜드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사업과 연계 추진함으로써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글로벌 브랜드로 육성시킬 것”이라며 “국내 인증산업을 수익창출형 지식 서비스 산업으로 육성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재훈 기자 jhkim@ajnews.co.k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