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10일 발표한 `2009년 경제전망 수정'에서 작년 동기 대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상반기에 -4.2%, 하반기에 -0.6%를 기록해 연간 -2.4%를 나타낼 것으로 관측했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올해 성장률을 2.0%로 내다봤으나 이번에 4%포인트 이상 낮춘 것이다. 이는 정부가 제시한 수정 전망치인 -2%와 비슷한 수준이다.
분기별로는 올해 1분기 -4.2%, 2분기 -4.1%로 상반기 내내 부진하다가 하반기 때 감소 폭(-0.6%)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한은 관계자는 "경기 저점은 2분기 또는 3분기일 수 있으나 내년 상반기까지는 지지부진한 상태가 지속되는 만큼 저점의 의미는 크지 않다"고 말했다.
한은은 다만 내년에는 성장률이 내외 수요회복에 힘입어 3.5% 증가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취업자 수는 상반기에는 17만 명이 감소하겠지만, 하반기에는 경기 부진이 완화하고 추경예산 집행 등으로 9만 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간 취업자 수 감소 예상치는 13만명이다.
민간소비는 저금리와 정부의 민생, 고용안정 대책에도 가계 구매력 저하 등으로 연간 -2.6% 줄고, 설비투자는 기업의 업황 부진 등으로 18%나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건설투자는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지난해 -2.1% 감소에서 올해는 1.8% 증가로 돌아설 것으로 봤다.
수출은 세계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감소와 보호 무역주의 강화 움직임 등으로 교역여건이 악화돼 연간 9.9%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 원자재가격 및 임금 안정과 수요 압력 약화로 연간 2.7% 오르는데 그칠 것이라고 한은은 밝혔다.
한은은 "세계 경기 침체는 각국의 경기부양 대책으로 점차 완화하겠지만 역자산 효과와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뚜렷한 회복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며 "앞으로 경제상황에 대한 불확실성, 업황 부진 및 이에 따른 유휴 생산설비 급증 등으로 기업의 투자심리도 크게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