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가 최근 낸 자료에 따르면 해외환자 1인이 우리나라에서 쓰는 평균 진료비는 374만원 정도이다.
우리나라 환자 1인의 평균 진료비가 99만원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약 4배에 달한다. 여기에 환자와 함께 들어오는 보호자 등 동반자 1인이 관광을 하며 쓰게 되는 비용까지 감안하면 외국인 환자 1인 유치시 나타나는 경제적 효과는 약 697만원에 이른다.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의료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는 태국은 2007년 한해에 154만명의 의료관광객을 유치했다.
이로인해 벌어들인 수입만도 12억7000만 달러에 달했다. 싱가포르 역시 한해에 보통 46만명의 의료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반면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 질을 자랑하는 우리나라는 한해 평균 외국인 의료관광객이 3만명도 채 안된다.
따라서 올해들어서 보건복지가족부, 보건산업진흥원 등 관련기관 뿐 아니라 의료계, 자치단체들까지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서울시 강남구의 경우 일본인들에게 인기있는 지역 내 성형외과, 피부과, 비만클리닉 등 의료기관들과 여행사들이 23일∼25일까지 일본 도쿄 및 오사카에서 의료관광 로드쇼까지 개최한다.
이 로드쇼를 통해 강남구의 선진 의료기술 수준과 전문성, 신뢰성 등을 집중 홍보하겠다는 복안이다.
미국 내 한인 여행업계도 이미 뉴욕, 뉴저지, 펜실베이니아주에서 한국계 미국인들을 상대로 건강검진과 항공여행을 결합한 ‘고국방문 건강검진 패키지’ 상품을 개발했다.
이러다 보니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은 커미션을 받고 환자를 유치하는 직업이 생기는 등 의료시장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의료관광(Medical Tourism)은 진료비는 물론 숙박, 관광 등 부가수익 창출에도 큰 효과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외국인환자 유치사업에 성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아직까지는 미지수라는 게 전반적인 분위기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올해 본 예산을 포함해 총 63억원의 추경예산을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으로 책정했다.
이 예산은 주로 한국의료에 대한 인지도 및 신뢰도 높이기, 외국인환자에게 친화적인 의료환경 조성, 의료분쟁 예방사업, 인프라 구축 및 홍보사업 등에 집중 집행된다.
그러나 일선 의료현장에서는 외국인 전용 병동 개설시 전체 병상 당 50%를 기준병실(다인실)로 해야 하는 현행규정을 면제해 주거나, 해외 의료관광객에 대한 비자발급 기준 완화 등 보다 근본적인 지원책들을 요구하고 있다.
또 환자들과의 의료분쟁 발생시 해결하는 방법이나 이를 위한 전문가 양성도 선결 과제라는 지적이다.
일선 의료기관들도 이 사업을 활성화하려면 공공성이 가미된 의료의 특성을 인정해야 한다. 질 좋은 국내 의료서비스를 외국인 환자와 공유하려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또 ‘3시간 대기, 3분 진료’라는 오명을 외국인 환자 진료를 통해 변화시킬 필요도 있다.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은 국익(國益)뿐 아니라 진료패턴에도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올 수 있다. 국내 의료기관들이 사업 타당성만 지나치게 고려한 나머지 이 사업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여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박재붕 기자 pjb@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