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2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 중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 제재 결의안 도출에 또 실패했다.
미국·러시아·중국·영국·프랑스 등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을 비롯해 한국·일본이 포함된 'P5+2'는 3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대표부에서 5차 협의를 가진 결과,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안보리 주요국들은 북한의 해외 금융계좌 동결, 북한을 오가는 선박에 대한 검색 강화 등 기존 결의안 1718호에 명시된 조치들보다 강화된 대북 제재 방안에 대해 이견을 보여왔다.
한·미·일은 북한에 대한 신속하고 강력한 제재가 추가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한 반면, 중·러는 대북 제재를 강화하기에 앞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제금융기구들의 북한 자금 흐름 통제, 중무기에 대한 금수조치 강화, 무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북한 회사의 자금 동결 등을 놓고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의 한 관계자는 "개별 접촉을 통해 이견이 좁혀져 왔으나 이번 회의에서 또다시 의견이 갈리면서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다"며 "협의를 계속 진행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열흘 가량 지속해온 안보리의 대북 제재 논의가 장기화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한편 미국·중국·러시아·일본·한국 등은 지난 1일 4차 협의를 마친 뒤 잇따라 개별 연쇄접촉을 갖고 막판 절충작업을 벌여왔다.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