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경영진이 노조의 총파업에 맞서 공권력 투입을 요청한 시기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양측은 상생방안 마련에 동의하고 대화를 통해 절충안을 찾기로 합의했지만, 입장차가 커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7일 쌍용차 노사에 따르면 양측은 정리해고 예고일인 오는 8일까지 대화를 지속하기로 했다.
박영태 쌍용차 공동관리인은 "8일 이전에 정리해고와 공권력 투입, 총파업 등 현안에 대한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면서도 인력구조조정안이 회사 회생을 위한 전제 조건인 만큼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이다.
법정해고 확정 효력일인 8일 이후 합법적인 방법으로 회사 퇴거명령이 이뤄지도록 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어 보인다.
이에 대해 쌍용차 노조 관계자는 "생존권 사수를 위해서라도 정리해고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구조조정 철회 입장을 고수했다.
공권력 투입이 임박하면서 무력 충돌에 따른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양측의 입장은 여전히 팽팽히 맞서고 있다.
지난 5일 송명호 평택시장의 주선하에 열린 노사정 협의회에서도 노사 양측은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같은 날 쌍용차 협력업체 소속 4000여명은 '정상화 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조속한 사태해결 촉구했다.
오유인 쌍용차 협동회 채권단 대표는 "노사 모두가 회사 회생을 위한 일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노사는 이번 2차 협의회에 앞서 지난달 21일에도 1차 노사정 협의회를 열었지만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노사 양측이 공권력 투입을 통해 극한의 타결점을 보게 될 지 아니면 노사간 협의를 통한 평화적 해결을 이뤄낼 수 있을 지 주목된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