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종인플루엔자A(H1N1) 누계 확진 환자가 22일 1000명을 넘어섰다. 지난 5월2일 남미를 다녀온 52세 수녀가 확진된 뒤로부터 82일만이다.
세계 각국으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신종 플루 환자는 국내에서도 두 달을 넘어서자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초기에는 20명선을 넘나들더니 7월 들어서는 50명 넘는 환자가 확진 판정되는 경우가 빈번해지며 급속도로 번지고 있다.
특히 더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국내에서는 아직 발생되지 않았으나 전 세계적으로 사망자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WHO는 신종플루로 전세계에서 42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9만4천명이 감염됐다고 최근 밝힌 바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종플루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법 또는 백신이 유일한데 예방법은 개인위생 철저와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현재 유일하다.
백신은 현재 국내 제약사 녹십자를 비롯해 GSK, 사노피파스퇴르, 노바티스, 박스터 등 4개 다국적 제약사가 생산하고 있다. 백신이 시급한 가운데 정부와 제약사간의 의견마찰로 백신 수급에 제동이 걸려있는 상황이다.
녹시자의 백신 공급에 한계가 있어 다국적제약사에서도 백신을 공급받아야 하지만 공급가 문제로 힘들게 됐다.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가격은 7000원선. 그러나 다국적사는 1만원 이상을 부르고 있다. 정부는 물량확보에만 집중하고 있어 제약회사를 고려하지 않은 가격정책으로 백신수급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또 다국적사는 적정 가격이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손해는 보지않아야 한다며 최소 1만원 이하로는 힘들다는 주장이다.
특히 정부의 물량확보 노력도 제약사의 생산한계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문제도 있다. 제약사가 아무리 생산시설을 계속 돌린다고 해도 공급 가능한 양을 미리 계획하고 거기에 맞게 제품을 생산해 내는 것 자체가 쉬운일은 아니다.
정부와 제약사들도 현 상황에서는 상대방의 상황도 고려할 줄 아는 배려가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 계속 확대되고 있는 신종플루 앞에서 위험에 노출된 것은 정부가 지켜야할 국민이고 제약사들의 소중한 소비자들이다. 각자 소중한 국민과 소비자를 지키위해 신중한 협상만이 필요할 것이다.
아주경제= 최용선 기자 cys467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