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사간 마라톤협상이 결렬된 2일 사측이 노조가 점거하고 있는 도장공장에 대해 단전조치를 내렸다.
외형상 사측은 한 달 유지비기 7억 이상이 드는 만큼 유지키 어렵다고 밝혔지만, 협상 결렬 이후 노조를 압박하고 공권력 투입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실제로 단전 조치가 내려진 이후 노조의 대오가 흐트러지며 30여명의 이탈자들이 생겨나고 있고, 공권력 투입이 임박했다는 소식에 우왕좌왕하고 있다.
앞서 사측은 도장공장에 대해 물과 가스공급을 중단한 바 있어 도장공장은 사실상 암흑천지로 변했다. 또 용역을 집중 배치시키는 등 충돌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사측은 “73일간 공장 점거 파업과 폭력 행위로 이미 3000억 이상의 손실이 초래됐다”며 “협력업체 역시 막대한 경영손실이 가중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임직원은 물론 수 만 명의 협력업체, 대리점, A/S 직원과 가족 등 수 많은 관련자들이 노조의 불법점거파업으로 심각한 생존권을 침해 받고 있다”고 밝혔다.
자신들만을 위해 수 만명의 생존권을 담보로 생계를 위협하고, 법원의 가처분 결정으로 인한 공장 명도 등의 법적 이행조차 무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회사가 물적 지원을 한다는 것이 불법 행위를 지원해주고 채권단의 손실을 가중시키는 격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쌍용차 관계자는 “점거된 공장으로 제공되는 전력비를 포함한 유틸리티 비용만 매달 약 7억원이 발생되고 있다”며 “회사는 물론 협력업체 채권단의 추가적인 손실 방지를 위한 단전, 단수 등의 조치는 점거사태 장기화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불가피한 대응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사 협상 결렬 이후 현재 약 40여명의 파업 이탈자들이 나오고 있는 것처럼 이제라도 불법적인 공장점거 파업을 해제하고 법원에서 결정한 바대로 공장을 명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주경제= 김훈기 기자 bo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