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보험 시장 규모가 10년 동안 2배 성장하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9위에 올랐다.
9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 1999회계연도부터 2008회계연도까지 자동차보험 실적을 집계한 결과 수입보험료는 5조2362억원에서 10조4134억원으로 2배 가량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7.9% 수준이었다.
이는 차량등록대수가 1138만대에서 1689만대로 급증한 데다 대물, 자손 등 담보별 가입률이 상승하고 가입금액도 커졌기 때문이다.
대물 담보의 경우 1999년에는 2000만원을 한도로 설정한 가입자가 96.4%에 달했지만 지난해에는 1억원 한도 가입자가 74.3%로 늘었다.
국내 자동차보험 시장 규모는 미국(244조원, 2006년 기준)과 일본(37조2000억원), 이탈리아, 독일, 영국, 프랑스 등에 이어 9위로 성장했다.
수입보험료 가운데 물적 담보는 차량 고급화 등의 영향으로 연평균 17.8%씩 성장해 지난해 5조494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인적 담보는 2.4%씩 성장해 지난해 4조8746억원에 그쳤다.
차량 한 대당 보험료는 65만1000원으로 10년 전의 48만1000원에 비해 35% 증가했다. 주요국의 대당 평균 보험료는 영국 138만원, 독일 111만8000원, 일본 108만원, 캐나다 106만원 등으로 우리나라보다 높았다.
자동차사고 유형별로는 대물과 차량사고가 10년 전에 비해 50% 이상 증가한 반면 자손사고는 14.3% 감소했다.
보험개발원은 자동차보험 손해율(수입보험료 대비 지출보험금 비율)의 경우 지난 10년간 68.3%에서 78.6% 사이에서 주기별로 변동했으며 현재는 상승 국면이라고 진단했다.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